|
 |
|
↑↑ 구미시가 5일 시청 대강당에서 국민의힘 소속 구미시의원들과 정책간담회를 열었다.(김장호 시장 SNS캡쳐) |
ⓒ 경북문화신문 |
|
더불어민주당 구미시 지역위원회가 구미시의 위기 극복과 재도약을 위해 '여야 상생 정책협의체' 구성을 공식 제안한 가운데 김장호 구미시장은 “시의회 차원의 정당 간 협의체 구성이 먼저”라는 입장을 밝혔다.
민주당 구미시(갑·을) 지역위원회는 5일 공개제안서를 통해 “노후 산업단지, 기업 유출, 인구 감소 등 복합적인 위기를 겪고 있는 구미가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정치권이 정파를 떠나 협력해야 한다”며 “여야가 함께하는 ‘상생 정책협의체’를 구성해 구미의 미래를 함께 설계하자”고 제안했다.
앞서 민주당은 지난 7월에도 구미시에 초당적 협의를 위한 공식 회의를 요청한 바 있다. 하지만 김장호 시장은 “지역위원장과 선출직 시의원만 참석하는 간담회 형식이 아니면 어렵다”며 사실상 거절했고, 이에 민주당은 “정치적 이해득실만 따지는 듯한 모습에 진정 지역과 시민을 생각하고 있는지 의구심이 든다”고 우려했다.
민주당이 이번에 제안한 ‘여야 상생 정책협의체’는 여야 정치권과 구미시 집행부, 시민사회 등이 참여하는 실질적 논의 기구로, 구미 재도약의 핵심 과제들에 대해 공동 논의하고 실천 방안을 마련하자는 취지다. 특히 이재명 대통령이 제시한 구미 지역 공약과 연계한 협력 체계 구축도 강조했다.
민주당 지역위원회는 “협의체는 시민 중심의 실천적 협치 모델이 될 것”이라며 “김 시장이 열린 자세로 이 제안을 진정성 있게 받아들여야 한다. 민주당은 정치적 유불리를 떠나 시와의 협력에 언제든 열려 있으며, 지역 공약 이행과 구미의 재도약을 위해 중앙과 지역, 여야간의 경계를 넘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김장호 시장도 이날 자신의 SNS를 통해 협치 필요성에 공감하며 입장을 밝혔다. 김 시장은 “구미의 미래를 함께 설계하고 재도약을 위한 자리는 언제든지 환영이며, 항상 문은 열려 있다”며 “다만 여야 상생협의체는 시의회 차원에서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간의 협의체 구성이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집행부와의 협의체 구성은 의회 내 정당 간 논의 이후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한편, 같은 날 오전 구미시는 국민의힘 소속 시의원들과 정책간담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는 구미문화선도산단, 장천 일반산단, 역사박물관 건립, 구미경제자유구역 지정 등 주요 현안들이 논의됐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더불어민주당과의 협의는 배제한 채 특정 정당과만 논의한 점에 대해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