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지난 18일 구미시를 방문한 김효정 환경부 물이용정책관이 해평취수장 이전을 찬성하는 해평면민들의 의견을 청취하고 있다. |
ⓒ 경북문화신문 |
|
환경부가 대구취수원 이전 사업에 대해 적극적인 추진 의지를 보이며 속도를 내고 있다. 특히, 2022년 체결된 협정서가 여전히 유효하다고 판단함에 따라 해평취수장을 공동 이용하는 방안이 유력한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지난 18일, 환경부 국장이 구미시를 방문했다. 이는 지난 7일 환경부 장관이 해평취수장을 찾은 데 따른 후속 조치로 이뤄진 것이다.
김효정 환경부 물이용정책관은 구미시청 방문에 이어 해평면 주민들과의 간담회 자리에서 “2022년 체결된 대구·구미 간 협정서는 여전히 유효하다”며 “대구시와 구미시 간의 원활한 협의와 소통을 통해 올해 안에 가닥을 잡겠다”고 환경부 입장을 밝혔다.
김 정책관은 “문제 해결의 열쇠는 대구시와 구미시에 있다. 두 지자체 간 갈등이 많다 보니 양측의 입장을 모두 들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난 현장 방문 때는 일정이 짧아 구미시의 이야기를 제대로 듣지 못했다”며 이번 방문의 배경을 설명했다.
그는 또 “그동안 안동댐 활용 방안이 중심이었지만 최근 2022년 협정서가 다시 부각되면서 구미시가 다소 당황스럽다는 반응을 보였다”고 전했다.
환경부는 또 구미시가 제안하는 구미보 상류 지점 이전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즉, 구미시의 제안은 불가하다는 것. 환경부 관계자는 “해평취수장 규제 해제 이후 구미보로의 취수원 이전은 낙동강 수질 보전 측면에서 수용하기 어렵다”며 “구미시에도 이 같은 입장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달 29일 안동에서 열린 낙동강 상류 취수원 다변화 관계기관 실무자 간담회에서도 언급했다"고 덧붙였다.
앞서 지난 7일 현장 점검을 위해 해평취수장을 방문한 김성환 환경부 장관 역시 해평취수장을 대구 취수원 이전지로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김 장관은 “비용과 수질로 보면 해평취수장으로 못 옮길 이유가 없다”며 “해평취수장을 반대하는 구미시장만 설득하면 되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또 구미시가 제안하는 구미보 상류 이전안에 대해서는 “상주와 의성과의 갈등이 예상되는 만큼 조율이 어려울 것 같다”고 했다.
환경부의 이러한 입장에 대해 구미시 관계자는 "해평취수장으로 인해 구미국가5산단에 업종 제한을 받고 있다. 따라서 해평취수장보다 수질 오염 우려가 적은 감천 합류부 상류 지점을 제안하고 있다"며 "대구시가 대행체제인 상황 등을 고려하면 좀 더 시간이 필요한 만큼 구미보 인근 이전안도 열어놓고 검토하자는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날 환경부 국장과의 간담회에 참석한 구미해평취수원상생연합회 등 취수원 이전을 찬성하는 시민들은 2022년 4월 환경부, 경북도, 대구시, 구미시 등 6개 기관이 함께 체결한 맑은 물 나눔과 상생발전에 관한 협정의 이행을 재차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