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김천·구미역에 조성될 버티포트(이착륙장) 조감도(자료제공 경북도) |
ⓒ 경북문화신문 |
|
경북도가 국토교통부 주관 ‘2025년 도심항공교통(UAM) 지역시범사업 지원’공모에 대구시와 공동 신청해 선정됐다고 26일 밝혔다.
국토부는 지난 4월 광역지자체를 대상으로 UAM 초기 상용화를 위해 지역 특성에 맞는 시범사업을 공모하고, 현장평가·서면 평가·발표평가 절차를 거쳐 대상을 확정했다.
UAM 이용 목적에 따라 교통형·관광형·공공형 등으로 유형을 제시하고, 신청을 받은 결과 총 7개 시도가 응모했으며 대구·경북은 공공형 예산지원 지자체로 선정됐다.
국토부는 국비 10억원을 들여 UAM 이착륙장(버티포트) 기본구상과 최적 노선 분석, 사업모델과 연계한 구조, 설비, 항로 등 건축계획, 버티포트 설계도서 작성 등 사업계획과 기본계획, 기본설계를 지원한다.
대구와 경북은 시도비 10억원을 더해 총 2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이번에 선정된 ‘대구·경북권 UAM 공공형 시범사업’은 경북도, 대구시뿐만 아니라 경찰청과 협의체를 구성하고 한국도로공사와 MOU를 체결하는 등 사전 공조 체계로 재난·교통·치안 관리, 응급구조와 같이 시도민의 안전과 직결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계한 공공서비스 모델이다.
먼저, UAM이 뜨고 내릴 수 있는 핵심 기반 시설인 버티포트를 김천·구미역, 왜관IC, DGIST(대구경북과학기술원)에 각각 조성한다.
고속도로 상공이 기체 운항을 위한 안전성 확보에 유리하고, 특히 경부고속도로는 대구·경북권 내 주요 간선도로로 교통량이 많아 교통과 상황 관리가 더욱 필요한 점도 고려해 버티포트를 경부고속도로 인근 상공 위주로 설정했다.
왜관IC는 도로공사 정비사업소와 경북 경찰청 고속도로순찰대 제3지구대와 인접해 있어 UAM을 활용한 전국적 도로관리 확대와 치안형 업무수행의 시범지로 적정하다는 점을 고려했다.
3개 버티포트를 연결한 노선 길이는 약 96km에 달한다. 각 버티포트에서 반경 50km의 공역을 설정, 산불 감시 등 재난 예방 활동, 재난 발생 시 생필품 전달 등 구호 활동, 응급사고 시 초동 조치, 도주차량 공중 순찰 등 치안 관리, 고속도로 교통상황 관리 등 새로운 첨단 재난·안전 시스템으로 자리 잡게 한다는 목표다.
이번 시범사업 공모 선정으로 시도민의 안전을 도모하고, 신공항과 연계한 대구·경북 미래 UAM 산업의 초기시장을 선점하는 계기를 만들었다는 데 큰 의미를 두고 있다.
경북도는 기존 제조업 중심의 산업 구조를 UAM 기체 기술개발, 부품 제조, 운항·정비, 버티포트 운영, 교통관제 등 미래형 항공산업으로 전환하고, 지역 전문인력 양성과 청년 중심의 고용 창출을 계획하고 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현 정부 5극 3특 중심의 국가균형성장전략 추진에 맞춰 대구·경북 공동협력 TF를 출범한 상황에서 대구·경북권 UAM 공공형 시범사업 선정은 의미가 크다”며 “향후 민간 영역까지 연계되는 지속 가능한 UAM 산업생태계를 조성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