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기자·데스크

조선시대의 서화평론<85> 사인암에 이인상(李麟祥)이 팔분서체(八分書體)로 암각시를 쓰다

이택용 기자 / gminews@hanmail.net입력 : 2013년 10월 27일
독립큐레이터 이택용
ⓒ 경북문화신문

▶해설

능호관(凌壺觀) 이인상(李麟祥)이 1751년(영조 27) 봄에 이윤영(李胤永), 김종수(金鍾秀)와 같이 단양 사인암(舍人岩)을 여행하고, 비가내린 후의 모습과 그 주변 계곡과 암벽에서 흘러내리는 물의 모습을 보면서 느낀 것을 시로 지었다. 즉 이윤영은 주자의 육선생화상찬(六先生畵像贊) 중에서 이천선생(伊川先生) 화상찬에 나오는 규는 둥글고 구는 방정하니, 승은 곧고 준은 고르다(規圓矩方 繩直準平)에서 '승직준평(繩直準平)' 으로 첫 구절을, 명도선생(明道先生) 화상찬에서 '옥색금성(玉色金聲)' 으로 둘째 구절을 빌려 왔다.

김종수는 논어 자한(子罕)에서 안연(顔淵)이 공자의 도가 무변광대함에 감탄하여 이른 쳐다보면 더욱 높고 뚫어 보면 더욱 단단하며, 바라보니 앞에 있다가 문득 뒤에 있도다(仰之彌高 鑽之彌堅 瞻之在前 忽焉在後)에서 '앙지미고(仰之彌高)' 를 빌려 셋째 구절을 썼다. 넷째 구절은 이인상이 논어의 태백(泰伯)편에 나오는 요 임금의 높고 큰 덕을 칭송한, '외평무명(魏乎無名)'을 따왔다. 그러니 이윤영이 앞의 두 구절을, 김종수가 셋째 구절을 그리고 이인상이 마지막 구절을 지었다는 말이다. 더욱이 그 구절들은 자신들이 직접 지은 것이 아니라 모두 집구(集句)하여 사인암을 찬미한 것이다. 아래의 팔분서체(八分書體)의 암각자(岩刻字)는 단양 8경중의 제4경인 사인암에 새겨진 것으로 이인상의 필적(筆蹟)이다.

▶사인암(舍人岩)에 이인상(李麟祥)이 팔분서체(八分書體)로 암각시(岩刻詩)를 씀

繩直準平, 玉色金聲, 仰之彌高, 魏乎無名. 辛未春 胤之定夫元靈撰.

먹줄로 그은 듯 저울로 단 듯, 옥빛에 경쇠소리. 우러를수록 더욱 높고, 우뚝하여 형용할 수조차 없네.

1751년(영조 27) 봄날에 이윤영 · 김종수 · 이인상 지음

 

 

 

 

 

  ▶

능호관 이인상의 팔분서체(八分書體)



이택용 기자 / gminews@hanmail.net입력 : 2013년 10월 27일
- Copyrights ⓒ경북문화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이름 비밀번호
자동등록방지
개인정보 유출,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지역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가장 많이 본 뉴스
구미를 그리다(1)]구미새마을중앙시장..
경북 7월의 독립운동가] 이정희·정응봉·정진화·홍주일 선생 선정..
一善의 精神 (2)]一善의 의미..
경북도 농업대전환, `경북 3대 평야`가 바뀌고 있다..
소설로 어루만지다(18)]형제 갈등으로 인한 진로 정체성 혼란의 극복..
상주시, 8년 연속 ‘MBC배 전국대학농구대회’ 유치...7일 개막..
구미 여름 대표 축제, ‘2025 구미 썸머 페스티벌’ 개최..
상주시, ‘사과·배 화상병은 우리가 지킨다’..
김천~보은~청주공항 철도 신설, 4개 지자체 공동 건의..
민선8기 3주년 김장호 구미시장 “변화의 씨앗, 가시적 성과로 꽃피울 것˝..
최신댓글
충돌 우려로 이승환콘서트를 금지했던 구미시장은 왜 이번엔 잠잠하지요? 정치적 선동금지 서약을 받았나요? 이건 이승환콘서트 보다 더 큰 충돌 우려가 되는 이벤트인 것 같군요.
산과 함께한 내공이 느껴집니다. 멋지네요.!!
늦은감은 있지만 향토문화유산의 조명은 꼭 필요하고 중요한 일이라 기대를 하게 됩니다.
다자녀 혜택 때문에 그런거 아니고? 우리도 다자녀 농수산물 지원 5만원 사이소에서 사라길래 회원가입했는데 ...
8명이 시위 하는데 안전상의 문제라면 지나가는 개도 웃을판이네 아~ 찍새까지 9명인가?
요즘은 형곡동에서 사곡오거리로 아우토반 넘어가는 시작점부터 화물차들이 대놓고 주차해 놓던데 그 큰 도로에 화물차 주차가 말이 됩니까? 구미시는 왜 가만히 방치하는지 사고 나야 소잃고 외양간 고치려는지
특별히 개성 있는 것도 아니고 눈에 띄는 것도 아니고 희소성도 없고
그래서 가은중은 고려대 우리는 구미대? "
지자체나 출연기관, 보조금 단체 등이 주관하는 대부분 행사들이 취지나 명분만 포장하고 있고 내용의 진정성은 찾아보기 어렵다. 인사말과 자아자찬에 기념사진 남기기가 주요 사안인 것 같다. 다른 지역도 어느정도 닮은 꼴이겠지만 변화와 발전을 위한다면 좀 바뀌어야한다. 사진찍기에 동원되는 관계인들도 관계를 위한 자리가 아닌 목적과 가치를 짚어보는 자세로 이젠 바뀌어야 하지 않을까... 구미의 미래를 위한다는 명분이라면...
뭣이 중헌디?
오피니언
《천자문》 주석에 “거야군(鉅野郡)은 태산(泰.. 
도시는 빠르게 변합니다. 낯익던 골목이 사라지.. 
-이순원의 『19세』 @IMG2@행복’의.. 
一善郡은 《삼국사기》에 선산 지명으로 처음 등.. 
여론의 광장
구미대, 나노헬스케어 500만원 상당 물품 기증 받아..  
상주시청 조선영 선수, 국제사이클대회 은빛 질주..  
구미시, 공실 원룸 활용한 청년 주거 지원사업 본격 추진..  
sns 뉴스
제호 : 경북문화신문 / 주소: 경북 구미시 지산1길 54(지산동 594-2) 2층 / 대표전화 : 054-456-0018 / 팩스 : 054-456-9550
등록번호 : 경북,다01325 / 등록일 : 2006년 6월 30일 / 발행·편집인 : 안정분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정분 / mail : gminews@daum.net
경북문화신문 모든 콘텐츠(기사, 사진, 영상)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경북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