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경실련, 집값폭락 교통지옥 난개발 우려
지역구 시의원들의 적극적 대처 및 시의회 부결 촉구
|
 |
|
ⓒ 경북문화신문 |
|
구미경실련이 도량동 꽃동산 공원 아파트 건설에 제동을 걸고 나섰다.
내년 7월 도시계획시설 일몰제(도시공원 일몰제) 도입에 따라 구미시는 장기미집행 도시 근린공원을 민간이 공원을 개발하고 공원 용지 일부에 아파트를 지어 수익을 내는 민간공원 조성사업 추진하겠다는 방침을 세우고 있다. 하지만 중앙공원은 주민들의 반대로 민간공원 조성동의안이 부결됐다. 반면 도량동 꽃동산공원은 계속해서 개발을 추진, 구미시의회 동의안 심사(26~28일)를 앞두고 있다.
구미지역의 20년 이상 장기미집행 도시공원은 32곳(10㎢)에 이르며 이 중 78.5%가 사유지다. 민간공원 개발은 장기미집행 도시공원 부지를 민간사업자가 매입한 뒤 70%는 공원으로 조성해 지자체에 기부채납하고, 나머지 30% 공원용지는 녹지·주거·상업지역으로 개발하는 것이다.
구미 꽃동산공원 민간공원 조성사업은 사업비 9,731억원을 투입해 오는 2025년까지 도량동 산 24번지 일대 공원면적 75만㎡가운데 48만8천860㎡에 민간공원을 조성하고 나머지 20만㎡정도에 최고 40층 짜리 대규모 아파트 3천300여가구와 학교, 경관녹지, 도로 등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민간공원에는 체육시설(헬스장·다목적체육관·프리웨이트 등)과 문화시설(아트홀·전시실 등), 도서관(어린이도서관·북카페·다목적스페이스 등), 복지시설(교양강좌실·시니어 커뮤니티 등) 등 연면적 9천860㎡에 지상 4층, 지하 1층 규모로 도량복합문화센터를 조성한다. 또, 6개의 테마마당인 들꽃마당·향기마당·자연학습마당·산림마당 등과 12개의 숲속정원인 건강정원·꽃길정원 등, 4개의 테마숲길인 건강젊음길·문화숲길·푸른숲길·꽃향기길, 외곽숲으로 모임쉼터·오름테크길·체력단련장·전망대 등도 조성된다.
이에 대해 구미경실련(이하 경실련)은 20일과 21일 성명서를 통해 "꽃동산공원 아파트 3,323세대가 건설될 경우 집값폭락과 난개발에 더해 교통체증 등이 우려된다"면서 "지역구 시의원들의 적극적인 대처와 함께 시의회의 부결"을 촉구했다.
이어 "구미산단 수출은 2013년 367억달러로 최고점을 찍은 이후 2018년 259억 달러로 급감했고, 고용 또한 2015년 12월 10만 2,240명으로 최고점을 찍은데 이어 2019년 9월 8만 9,162명으로 최저점을 기록하는 등 감소추세를 이어가고 있다. 게다가 2014년 1억500만원에 매입한 고아읍 원호리 전용면적 18평 A아파트(1997년 준공) 가격은 현재 6천300만원으로 5년새 무려 4천200만원, 40%나 폭락했다"며 “이처럼 수출·고용이 급감하고 인구도 줄고 실업자가 넘쳐나는데도 40%나 폭락한 아파트 옆에 바로 구미시가 민간공원특례사업으로 꽃동산공원 아파트 3,323세대 건설을 막무가내식으로 밀어붙이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꽃동산공원 피해지역 지역인 도량동·봉곡동·원호리 지역구 시의원들은 시의회 심사가 코앞인데도 단 한 차례도 주민의견 수렴 공청회를 열지 않는 등 지역구주민 권익을 외면하고 있다”며 “집값폭락, 난개발 등 중앙공원보다 피해가 훨씬 더 큰 지역인데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대응태도는 중앙공원 피해지역인 송정동·형곡동 지역구 시의원들과 너무나 대조적인 무책임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경실련은 “중앙공원의 사례를 보면 민간공원 조성 시 지자체 재정부담 완화나 난개발로 인한 문제점 해소 등을 고려할 때 긍정적인 부분이 있지만 아파트 공급에 따른 미분양과 기존 아파트 가격하락 등이 우려된다”며 "지난 5월 중앙공원 특례사업 동의안 부결 때처럼 시의회가 반드시 부결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제동이 걸려 개발이 안되면, 내년 6월이후 일몰제로 법적해제되는데,
형곡중앙공원과 여기 두곳 토지소유주들은 수십년의 한을 풀게 되겠네요.
11/24 13:56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