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북문화신문 |
|
철새가 날아오는 계절이다. 지산 샛강은 월동을 위해 찾은 큰고니들로 생동감이 넘친다. 고니들의 울음소리가 이렇게 괴이하고 클 줄이야. 입구에만 들어서도 시끌시끌하다.
먹이를 찾기 위해 부리를 물속에 넣고 꼬리를 하늘로 치켜세우는 자맥질이 서툰 회갈색의 어린 고니가 어찌나 귀여운지. 때때로 보여주는 날개 짓은 또 얼마나 우아한가. 서로 이야기를 나누는지, 다투는지 긴 목을 움직이며 소리를 내는가 싶더니 날개를 퍼득이다 이내 잠잠해진다. 또 두 마리가 부리를 맞대고 연신 하트를 날리기도 한다. 그야말로 백조들의 호수다. 샛강을 가득 메운 고니들과 청둥오리, 쇠기러기들의 움직임을 보고 있노라면 시간 가는 줄 모른다.
봄기운이 완연했던 지난 4월 중순, 지산 샛강에 겨울 철새인 고니가 홀로 남겨졌다. 보통 10월 말경 이곳으로 날아와 겨울을 나고 이듬해 봄이 되면 다시 서식지인 몽골로 돌아가야 하는데 개체에서 떨어져 길을 잃은 모양이다. 조류학자들은 겨울철새가 이동하지 못하고 월동지에서 여름을 나는 경우도 간혹 있다고 했다. 지산 샛강에 홀로 남은 고니도 무사히 여름을 나고 겨울에 무리들을 만나 함께 번식지로 이동하길 바라는 마음으로, 지역민들이 함께 관심을 갖고 지켜주자는 마음으로, 본지는 홈페이지 공모를 통해 ‘샛오르미’라는 이름을 지어주고 꾸준히 모니터링을 해왔다.
지난 8개월간 샛오르미를 쫓아다니면서 봄에는 벚꽃, 여름에는 연꽃, 가을에는 단풍, 겨울에는 고니를 비롯한 철새들을 볼 수 있는 도심 속 친환경 생태공원으로서 지산 샛강을 재발견하기도 했다. 또 샛강에서 사라진 샛오르미를 찾아다니면서 가 본 괴평들녘과 해평 강정습지, 낙동강체육공원, 낙동강의 하중도, 감천은 철새와 사람이 공존할 수 있는 최적의 자연환경이었다. 샛오르미가 알려준 그곳들은 아무런 헤아림 없이 언제든 찾을 수 있는 쉼터였고 위안이었다. 샛오르미가 준 최고의 선물이 아닐까.
지산 샛강은 구미공단을 조성하면서 낙동강변에 진행된 제방 공사로 인해 낙동강 물길이 바뀌면서 기존에 흐르던 강물이 습지로 바뀐 곳이다. 즉 굴절된 강이 오랜 세월과 함께하면서 퇴적층에 따라 자연적으로 생긴 호수로서 소뿔과 닮았다는 데서 우각호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이곳에는 특히 2000년 초반부터 큰고니 등 겨울철새가 찾기 시작해 매년 그 수가 증가해 지난해 1천여마리 정도가 머물렀다. 이곳의 큰고니는 몸 전체가 흰색이고 부리는 노란색, 부리 끝에서 콧구멍의 뒤쪽까지와 아래부리는 검은색이며 천연기념물(202-2호)이자 환경부 멸종위기종 2급으로 보호되고 있다.
큰고니는 1년의 절반인 6개월 가량을 지산샛강과 감천하구, 낙동강 하중도 등 구미에 머문다. 구미가 제2의 고향인 셈이다. 게다가 개체 수도 매년 증가해 1천 여 마리에 이른다. 이 정도 되면 고니를 지역화해도 충분하지 않을까. 라면축제보다는 고니 관찰축제가 훨씬 더 자연스럽지 않은가. 먼발치에서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직접 찾아가 관찰하기도하고 사진도 찍으며 먹이도 주는 등 고니가 우리 곁에 있다는 것을 심어주어야 한다. 지역에 있는 천연기념물을 문화자산으로 숙지하고 보호하는 것만으로도 문화가 될 수 있다.
문화관광 차원에서도 충분히 가치가 있는 천해의 자연을 이용해 구미를 알릴 수 있고 사계절 내내 특성을 가지고있는 구미로써는 귀중한 자원이다. 앞으로는 무혀의 유혀의 문화관광이 경쟁력이될것이다
지산샛강에는 그외에도 많은 철새들이 해마다 찾아오고 있는 습니다
01/22 06:52 삭제
지산샛강 큰고니 제2의고향 구미 top입니다.
월동36일…재두루미3마리, 두루미1마리도 있어요.
12/17 22:49 삭제
고니 축제 좋아요~~
12/17 22:10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