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북문화신문 |
|
단어가 함축(含蓄)하고 있는 의미로 보자면, 중력의 방향으로 실에 추를 달아 늘어뜨릴 때 실이 나타내는 방향인 수직(垂直)은 위계적(位階的) 또는 차별적(差別的)이고, 기울지 않고 평평한 상태로 지구 중력의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인 수평(水平)은 동등(同等) 또는 평등(平等)을 내포하고 있다. 국민이 권력을 가지고 그 권력을 스스로 행사하는 제도인 민주주의의 기본원리 중에 하나인 평등권은 수평이 함축하는 말이다.
구미시는 1995년 민선 1기부터 민선 7기인 현재까지 총 3명의 단체장이 문화 분야 소관 부서를 통하여 문화예술 행정을 펼쳐왔다. 민선 1기에서 3기까지는 문화공보담당관실에서, 4기와 5기는 문화예술담당관실에서, 6기는 문화관광담당관실에서 맡아오다가 7기부터는 국으로 승격시키고 분리된 문화예술과가 문화예술 관련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소관 부서의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민선 1기에서 3기는 시정 홍보와 관련한 문화사업 위주의 활동을 대표기관인 구미예총과 구미문화원을 통하여 펼쳤다고 할 수 있다. 문화예술을 전면에 내세우기 시작한 것은 민선 4기 부터이다. 이 시기는 축제로 대변되는 문화사업들이 생겨나기 시작하는데 관 주도의 축제 행사 (구미시 다문화 축제2007.10, 구미하이테크페스티발2008.10, 구미불빛축제2013.9, 2014.11)와 민간 주도의 축제 행사(제29회 전국연극제2009.6, 구미아시아연극제2010~현재, 구미전국전통연희축제2010~현재, 구미국제음악제2013~2017, 청춘 2.4km2017~현재)가 만들어지기 시작한다. 또한 중앙정부가 발주한 기획 공모 사업인 문화특화지역조성사업2015~2019, 문화적 도시재생사업2019.6~2020.3에 선정되어 문화사업 위주의 소액다건 식 사업이 아닌 생활문화와 지역문화의 기반 구축을 통한 지역문화 진흥을 위한 계획 수립의 가능성이 열리기 시작한 시기이기도 하다. 그리고 민선 7기, 우여곡절은 많았지만 문화예술의 정책 지원기관인 구미문화재단 설립을 위한 작업에 들어간다. 또한 2021년 10월에는 전담부서인 ‘문화도시 TF팀’을 신설하고 ‘문화조시지정’을 위한 적극적인 행정을 펼치고 있다. 이렇게 지난 30여 년간 문화예술 행정은 변화와 발전을 거듭한다.
하지만 여전히 ‘구미는 문화가 없다.’고 한다. 또한 2014년 지역문화진흥법 제정으로 ‘문화도시 지정 및 지원(제4조)이 정식화되고 문화도시 조성 정책의 흐름이 정식적인 틀을 갖추게 되면서 많은 도시들이 이 사업에 뛰어들고 있다. 구미시 역시 문화특화지역조성사업과 문화적도시재생사업을 통해 ‘문화도시’를 경험하고 ‘문화도시지정’ 공모에 2차례 2019, 2021 도전하지만 ‘실패’한다.
‘관료출신의 인사가 지자체의 장이 될 경우 공무원들의 서비스 대상은 시민이 아니라 그들의 보스가 된다.’는 어느 도시 전문가의 말이 아니더라도 공무원 조직은 여전히 수직의 위계구조를 벗어나기 힘들어 보인다. 민선 7기가 출범하면서 각 부서의 책상에 놓인 구미시의 조직도를 보면 구미시민이 맨 위에 위치하고 있다. 이는 시민이 주인이며 서비스의 대상으로 삼겠다는 구미시의 시정 철학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수직적 구조의 체계에서 구미시장의 머리 위에 시민을 올려놓는다 하더라도 공무원들이 올려다 본 그 곳에는 여전히 시민을 가린 보스의 얼굴이 그들을 내려다보고 있을 뿐이다.
민선 8기를 이끌 구미시장은 시민을 위가 아니라 곁에 두었으면 한다. ‘시민’의 목소리를 관 주도의 수직적이고 일방적인 방식이 아닌 ‘함께’ 할 수 있는 수평적 방식이 무엇인지 끊임없이 고민해주길 바란다.
문화의 꽃을 피운 고대 그리스의 아테네는 민주주의의 진원지였다. 시민 누구나 아고라에 모여 자신의 의견을 여과 없이 표출하였고 정치, 철학, 과학, 예술 분야에서 이룬 뛰어난 업적들이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도시의 주인은 바로 시민이다. 시민이 주인공이 된 구미는 시나브로 ‘문화도시’가 되어 있을 것이다.
적절한 시기에 적절하게 되짚어 주셨네요.
문화와 예술이 융성하여 시민이 살기 좋은 구미시를 만들어 주세요.
05/03 21:02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