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구미시 제공 |
ⓒ 경북문화신문 |
|
구미시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2022년도 탄소산업기반조성사업의 신규 과제인 ‘반도체·이차전지 부품용 인조흑연 테스트베드 구축사업’ 공모에 최종 선정됐다고 2일 밝혔다. .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추진하는 ‘반도체·이차전지 부품용 인조흑연 테스트베드 구축사업’은 인조흑연 생산기술에 대한 집중적 육성을 통해 원천기술 국산화에 따라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인조흑연 테스트베드를 구축하는 사업이다.
2022년부터 2025년까지 4년간 270억(국비 100, 도비 49, 시비 121)을 투입하여 구미국가5산업단지에 센터를 건립하고, 인조흑연의 시험생산을 위한 공정장비와 제조공정 및 제조된 인조흑연의 성능평가를 위한 분석 지원 장비를 구축할 계획이다.
또 인조흑연 소재·부품 관련 시제품 제작, 제품고급화, 애로기술 지원 및 시장 창출을 위한 컨설팅 지원 등을 통해 수요 연계 협력사업 및 유망기술을 집중 육성해 인조흑연 산업의 밸류체인을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구미는 반도체, 이차전지 등 인조흑연 수요산업이 모여있어 인프라 구축을 통해 더욱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내재한 지역이다. 하지만 현재까지는 구미에 사업장을 두고 있는 SK실트론이 약 800억원, LG화학이 약 150억원 정도의 인조흑연을 수입하는 등 기술·생산기반이 부족한 상황이었다.
구자근 국회의원은 지난 총선에서 탄소섬유 클러스터 조성 등 구미경제 재도약을 위한 신산업 육성을 대표 공약으로 내세워 공약 이행을 위해 국회 산업위 위원으로 활동하며 사업 유치를 위해 산업부를 꾸준히 설득해왔다. 지난해 정부 예산안 심의에서는 탄소산업기반조성사업 명목으로 인조흑연 테스트베드 구축사업이 본예산에 편성될 수 있도록 노력해, 경북 구미가 단독 공모를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구 의원은 “올해 말 공정기술개발, 정비5종 계약, 제품 국산화 기술지원을 시작으로 총 15종의 관련 장비가 구미산단으로 들어와 인조흑연부품이 국산화 및 상용화돼 연간 1조원 정도의 수입대체가 가능해지고, 구미 산단에 양질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라고 기대효과를 설명했다.
구미시도 고품질 인조흑연 제조 및 테스트베드 구축을 통해 R&D 및 설비 투자 확대가 기대되며, 전문적인 기술을 보유한 인조흑연 및 응용산업이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배용수 부시장(구미시장 권한대행)은 “구미는 반도체, 이차전지, 국방 등 수요산업이 집적돼 있으며, 인조흑연 생산에 대한 원천기술 국산화와 기술사업화 지원을 통해 전문 중소기업을 육성하여 일자리 창출 및 지역 산업 경기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