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지난 3월 16일 새마을테마공원 글로벌관에서 구미시가 시민주도형 문화도시 조성을 위해 '문화도시 시민추진단'을 구성하고 첫 포럼을 가졌다.(구미시 제공) |
ⓒ 경북문화신문 |
|
구미시가 문화도시 지정을 위해 중간지원조직인 문화도시지원센터 민간위탁을 추진한다.
지난 8일 구미시가 제출한 문화도시지원센터 사무 민간위탁 동의안이 구미시의회를 통과했다. 이에 따라 이달 중으로 공고를 통해 센터장과 팀장을 공개모집한다.
구미시가 이같은 동의안을 제안한 이유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주관하는 ‘문화도시 지정’ 공모사업 선정을 위해 문화도시 조성사업 추진에 있어 관 주도가 아닌 민간주도로 전문성, 지속성, 안정성을 보유한 민간실행주체 마련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기 때문이다. 게다가 심의 시 실현가능성이 주요 평가항목이 되기 때문이다.
문화도시지원센터가 설립되면 문화도시 사업 기획·홍보· 운영 등 사무 전반적인 것을 맡게 되며 위탁 기간은 올 하반기부터 2025년까지 3년간이며 연 2억4천만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구미시는 문화도시 지정 공모 선정을 위해 전담부서인 문화도시 TF팀을 구성하고 전 행정력을 집중하는 등 사활을 걸고 있다. 특히 지난 2019년과 2021년 2차례 도전에서 실패한 이유가 시민의 다양한 목소리를 관 주도의 수직적이고 일방적인 방식으로 담아냈기 때문으로 보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나아가 문화도시 조성사업과 연계가능한 25개 부서 41개 담당으로 구성한 행정협의체를 발족(단장 구미시장)했다. 이는 실질적인 업무협조를 통해 도시의 문제를 적극적으로 개선한다는 취지다.
지난해 10월 구성된 TF팀은 ‘구미 문화도시 시민포럼, 시민 100인 테이블’ 개최, 구미시민추진단 105명 위촉 등 다양한 활동을 해오고 있다. 특히 시민추진단은 첫 회의를 통해 5개의 의제를 발굴해 의제별로 매주 회의를 통해 여러 가지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추진단의 의견은 문화도시 사업계획서 작성에 반영할 예정이다.
하지만 지난 3월부터 3개월째 의제별로 모임을 해오고 있는 시민추진단 중 일부는 추진단의 목적과 방향이 뚜렷하지 않아 한계를 느낀다는 반응이다.
시민추진단 A씨는 “회의를 통해 여러 가지 의견이 제시되지만 이러한 의견에 대해 전문적인 식견이나 정보, 피드백이 없어 한계가 있다. 열심히 참여하고 있지만 결론도, 방향도 없어 무엇을 하고 있는지 회의가 들기도 한다”고 문제점을 제기했다.
시민추진단 B씨는 “문화도시 지정 신청을 위해 용역업체가 주축이 되다 보니 문화도시 지정을 위한 요건충족에만 관심이 있는 것 같다. 시민들의 의견이나 요구는 그저 메아리가 될 뿐이다”며 “시민들의 의견이 모여 하나의 방향으로 가야 하는 데 그러지 못해 아쉽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시는 "문화도시지원센터를 만들어 구심점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제대로 방향성을 잡지 않는다면 문화도시는 산으로 갈 수밖에 없다는 것이 참여자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한편, 문화도시 지정 공모 신청 접수는 이달 말까지며 7월 서면 평가에 이어 8월 서면 검토를 통해 9월 최종발표된다. 문화도시로 지정되면 지역문화진흥법에 따라 5년간 최대 200억원(국비 100억원, 지방비 100억원)의 사업비를 지원받아 지역에 맞는 문화산업을 추진할 수 있는 혜택이 주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