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북문화신문 |
|
"얼마 전 영천의 은혜사를 방문했다가 성보박물관에서 중요한 보물로 소장돼있는 조선후기 업경대를 발견하고 김용철 안무자의 순수창작무용 업경대를 떠올렸어요.”
공연을 기획했던 장채영 구미문화예술회관 공연기획자 덕분에 지역에서 오랜만에 좋은 공연을 만날 수 있었다. 업경대 뿐일까. 뮤지컬 '시카고'와 '브로드웨이 42번가'를 구미에서 즐길 수 있었다.
구미시는 지난 2017년 처음으로 공연전시기획 분야에 일반임기제 7급 공무원을 채용했다. 구미시 제1호 공연전시기획 전문가인 장 기획자의 구미와의 인연은 이때부터 시작됐다. 지난 8월 말 5년 임기가 종료될 때까지 그는 크고 작은 공연과 전시, 지역문화 진흥을 위한 콘텐츠 개발을 통해 시민들에게 다양한 문화예술을 선보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근무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시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다양한 문화적 욕구와 취향을 파악해 이를 바탕으로 2018년 '브로드웨이 42번가'를 유치해 전석 매진을 기록했다. 이어 구미공단 50주년 기념공연으로 '맘마미아', 2021년 뮤지컬 '시카고' 유치, 마당극 등 굵직굵직한 공연을 기획해 코로나19로 지친 시민들을 위로하기도 했다.
또 2019년 10월에 구미문화예술회관 개관 30주년을 기념해 처음으로 개최한 '구미시 문화예술 발전을 위한 심포지엄'은 국내 최고권위의 전문가와 교수를 초빙하는 등 지역문화 진흥을 위한 새로운 전략과 실천을 도출해 내는 탁월한 기획력과 추진력은 아직도 생생하게 기억되고 있다.
그와 구미의 문화예술에 대해 즐겨 이야기를 나눴다. 시간 가는 줄 모르고 각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문화예술에 대해 서로의 생각을 공유했다. 꽤 말이 통했다. 물론 기획자에게 배우는 것이 더 많았지만.
한번은 문화예술과 예술문화에 대해 토론을 벌인 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문화예술이라는 말을 많이 사용하는데 올바른 표현은 예술문화가 맞다. 조직문화, 학교문화, 지역문화처럼. 예술이라는 분야가 완벽하지 않기 때문에 문화를 예술 앞에 갖다 붙여서 예술문화를 마치 완벽한 것처럼 단어를 구사하는 것이다”는 그의 말이 아직도 귓가에 맴돈다.
1986년 타계한 김수근 건축가의 유작인 구미문화예술회관은 구미의 소중한 자산이라며 김수근 학술대회 등 현대 건축물로 조명해야 한다는 그의 말은 여전히 유효하다.
장 기획자의 빈자리가 컸던 것일까. 여기저기서 인재를 놓쳐 아쉽다는 말이 들려온다. 그가 5년 동안 기획한 공연, 전시들은 여전히 시민들의 마음에 남아있다. 얼마 전 기획자와 통화를 했다. 경남의 어느 지방자치단체가 직영하는 문화예술회관에 6급 팀장 공무원으로 합격해 근무하고 있다고 한다. 벌써부터 그의 활동이 기대된다. 팀장으로, 관장으로 승승장구하길 응원한다.
정말 많이 아쉬움이 느낍니다. 구미 시청에 일을 일답게 하는 공무원이 이직 하다니 정말 섭섭합니다.
기획자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모르는 사람은 너가 없어도 돌아간다는 식의 말을 하겠지만
떠나버린 전문가의 자리는 시간이 조금만 지나면 쯧쯧
09/29 17:41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