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기고

여규동의 문화해설사의 구미야기(9)]해동 최초 가람 태조산 `도리사`

경북문화신문 기자 / gminews@hanmail.net입력 : 2022년 10월 18일
↑↑ 여규동 구미시관광문화해설사
ⓒ 경북문화신문
낙동강 물줄기를 거슬러 금오산을 좌로 놓고 냉산자락으로 스며들면 동국 최초 가람 천년고찰 도리사(桃李寺)를 만난다. 일주문을 지나면 사시사철 아름다움과 그늘을 만들어 불자들을 맞이하는 벚꽃나무가 터널을 이루어 도리사를 찾는 이들을 부처님의 가피(加被)로 안아주는 느낌을 준다. 굴곡진 도로를 한참이나 오르면 마침내 아름드리 노송들이 내려보며 주차장을 내어준다.

때는 신라 눌지왕 때 고구려에서 온 승려 아도화상이 세운 신라 최초의 절이다(417년). 아도화상이 수행처를 찾기 위해 다니던 중 겨울인데도 이곳에 복숭아꽃과 오얏꽃이 활짝 핀 모습을 보고 좋은 터임을 알고 모례장자의 시주로 절을 짓고 이름하여 도리사(桃李寺)라 하였다.

천년의 고찰인데도 건축물이 여느 절에 비해 단촐함은 수많은 병화를 통해 소실되었기 때문이다. 1729년(영조 5) 대인(大仁)이 아미타불상을 개금(改金)하여 금당암으로 옮겨 봉안하고 금당암을 도리사로 개칭하였다고 전해진다. 이렇게 오래된 사찰을 한 편의 글로 소개하는 일이 무척 어려움을 느낀다. 인터넷에도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으나 현장에서 방문객들이 궁금해하는 사항들을 안내소에서부터 설명하는 게 가장 쉽게 이해할 듯하여 차례대로 소개하고자 한다.

일주문(一柱門)은 기둥이 한 줄로 서 있는 문이라는 뜻으로, 사찰에 들어가는 첫 번째 관문이기도 하다. 극락전에서 4.7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한 일주문은 1993년 돌기둥을 세우고 그 위에 팔작지붕을 올린 건물로 도리사에서는 산문(山門)이라고도 칭한다. 이유는 아마도 사바세계와 극락세계를 구분하는 곳이 이 문(門)인데 그 문안에 각종 위락시설이 산재해 있는 것이 이유일 것 같은 생각이 든다. 정면에는 예천의 서예가 초정(艸丁) 권창륜(權昌倫) 선생이 광개토대왕비체로 쓴 “동국최초가람성지태조산도리사”(東國最初伽藍聖地太祖山桃李寺)라는 편액이 걸려 방문객을 맞이한다.

적멸보궁(부처님 진신사리가 안치된 곳)이란 하거비(下車碑)가 있어 모든 방문객들은 예(禮)를 갖추어야 한다. 도리사에 첫 손님을 맞이하는 곳에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戒道)란 큰 도장 같은 석조물(石造物)이 서 있다. 신라 의상 스님이 화엄사상의 요지를 7言(언) 30句(구) 210字(자)의 간결한 詩句(시구)로 축약한 글로 54角(각)이 있는 사각도인(印)에 그려 놓아 법회에서 해인도(海印圖에) 따라 돌면 제자리로 돌아오고 또 계속 돌게 된다. 법계도의 게송은 중앙에서 '法(법)'자로 시작해서 다시 중앙에서 '佛(불)'자로 맺고 있다. 게송을 "法性偈(법성게)"라 한다.

단풍나무가 산들거리는 길을 따라 들면 활주가 지붕을 떠받치고 있는 극락전(極樂殿)이 보인다. 서방극락정토(西方極樂淨土)의 주재자인 아미타불을 모시는 법당이다. 정면과 측면이 각 3칸인 팔작지붕 건물로, 1875년(고종 12) 용해(龍海)스님이 중수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1870년 중건된 경복궁 근정전의 공포 구성양식과 유사하여 조선 말기의 건축특징을 엿볼 수 있다. 내부에는 1645년에 조성한 목조아미타여래좌상과 1876년에 조성한 아미타후불탱을 봉안하고 있으며, 근래에 지장탱과 신중탱을 조성하여 봉안하였다. 또한 이 건물에는 흙을 사용하지 않고 순수 목재로만 건축된 것이 특징이기도 하다.

극락전 앞뜰에 있는 고려시대의 석탑인 화엄석탑(華嚴石塔)이 자리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5개 층을 이루고 있는데, 맨 아래층은 탑을 받치는 기단으로, 기단 위의 2개 층은 중심부분인 탑신부로 여겨진다. 탑신부의 1층과 2층은 작은 정사각형의 돌을 2∼3단으로 쌓아 마치 벽돌을 쌓아 올린 것처럼 보이는데, 각각 한 면에 문틀을 돋을새김한 널돌을 끼워 문짝 모양을 표현한 점이 특징이다. 위쪽의 2개 층은 머리장식 받침인 노반(露盤)이고 맨 위의 노반 위에는 연꽃이 조각된 보주를 얹어놓았다. 우리나라 석탑 가운데 동일한 유형을 찾아볼 수 없는 특이한 형태의 이 화엄석탑은 현재 보물 제470호로 지정되어 있다. 중국의 전탑을 닮아 모전석탑(模塼石塔) 이라고도 명한다.

또 극락전 서편 마당에는 직지사 말사 즉 제8교구에서만 볼 수 있는 특이한 조형물이 있다. 이른바 포대화상이다. 화상은 명주(明州) 봉화현(奉化縣) 출신으로 당나라 말기부터 활동했던 인물이다. 이름은 계차(契此)이며, 항상 커다란 포대자루를 들고 다녔기 때문에 포대화상이라는 별명으로 많이 불렸다. 화상의 배를 만지면서 소원을 빌면 모두 이루어진다는 믿음 때문인지 배 둘레에 손때 자국이 선명한 곳이 많다. 어린이를 좋아해서 동자를 안고 극락전을 바라보고 있다. 어느 보살님이 입혔는지 주홍색 옷을 예쁘게 입혀 놓아 오가는 이의 주목을 끈다. 마치 절의 인심을 대변하는 듯하여 마음까지도 포근해진다.

극락전을 지나 담 밖 비탈진 송림을 내려서면 나란히 남향하여 서 있는 두 비석 아도화상사적비(阿道和尙事蹟碑)와 불량답시주질비(佛糧畓施主秩碑)가 현재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91호로 일괄 지정되어 있다. 이 비(碑)는 1655년(효종 6)에 세운 것으로 아도화상이 신라에 불교를 전한 사적(事績)을 적은 것이며, 뒷면에는 자운비가 음각되어 있고 비석의 모습은 자연석을 받침 삼아 그 윗면에 홈을 파서 비를 세우고, 머릿돌을 얹었다. 머릿돌은 앞면에 이무기를, 뒷면에 네 마리의 용을 조각하고, 그 사이마다 다시 운룡을 조각한 독특한 모양이다. 불량답시주질비는 도리사에 논밭을 시주한 이의 이름과 논밭 규모를 적어놓은 비석이며 1712(숙종38)에 세워졌다. 모습은 아도화상사적비와 같으나 머릿돌 앞뒷면에 굵은 선으로 연꽃봉오리와 줄기를 조각하고, 양 옆면에는 이중으로 된 원 모양의 띠를 새겨 장식하였다. 앞쪽으로는 아도화상께서 참선을 하셨던 좌선대가 자리를 하고 있다. 이곳에서 도리사의 기(氣)를 느낀다는 사람도 있어 관람객들이 호기심을 가진다.

가쁜 숨을 들이쉬며 다시 극락전 마당 동편을 돌아들면 큰스님이 거처하는 요사체인 염화실(拈花室)이 보인다. 정면 5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 ㄱ자형 건물이다. 석가모니가 꽃을 들고 가섭이 미소를 지었다는 내용에 기초한 화두(話頭) 염화미소(拈花微笑)에서 따온 것이다.

극락전 뒤편에는 삼성각(三聖閣) 자리하고 있다. 산신(山神)ㆍ독성(獨聖)ㆍ칠성(七星)을 모신 전각이다. 정면 3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 건물로, 내부에는 1992년에 조성한 산신탱(山神幀)ㆍ독성탱(獨聖幀)ㆍ칠성탱(七星幀)이 봉안되어 있다.

태조선원과 삼성각 사이에 있는 석종형 세존사리탑(石鍾形 世尊舍利塔)은 높이 1.3m의 석탑으로 석종형 부도(浮屠)를 닮았다. 작은 방형기단 위에 탑신과 연꽃봉오리 형태의 보주를 장식하였으며, 상층 지대석의 네 귀퉁이에는 사자의 머리를 조각하고 그 중간에 향로를 새겼다. 탑신의 위ㆍ아래에는 띠처럼 돌아가며 연꽃잎을 새겼는데, 꽃잎이 서로 겹쳐지도록 한 점이 특이하다. 보주에도 아래에 앙련을 새기고 그 위로 다섯 개의 원을 마련하여 ‘世尊舍利塔’이라는 글자를 한 자씩 새겨 넣었다. 조성연대는 16세기 말 17세기 초로 추정되며, 1977년 이 사리탑에서 8세기 무렵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금동육각사리함이 발견되어 직지사 성보박물관에 보관 중이며 그 안에 담긴 진신사리는 도리사 적멸보궁에 모셔져 있다.

저 멀리 금오산 쪽을 바라보고는 태조선원(太祖禪院)이 자리한다. 냉산을 태조산이라 명하는 것도 여기에서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스님들이 수행하는 선방으로 정면 7칸, 측면 8칸 규모의 ‘ㄷ자’형 건물이다. 고려말 야은 길재선생이 공부하시고 성철(性徹) 큰스님도 이곳에서 정진하였다고 전해진다. 정면에는「太祖禪院」 이란 현판을 민족대표33인 중 한 분인 오세창 선생이 쓰신 예서체 편액이 걸려 있다.

태조선원을 마주하고 수선료(修善寮)가 자리하며 종무소로서 실질적인 도리사의 업무를 관장 하는 곳이다. 정면 5칸, 측면 4칸 규모의 팔작지붕 2층 건물이며 1990년에 건립하였고 1층은 공양간, 2층은 종무소와 요사체로 사용하고 있다. 정면에는「東國最初伽藍」ㆍ「太祖山 桃李寺」 등의 편액이 걸려 있다. 각 선방의 방제를 사씨부인, 아굴마, 고도녕, 모래장자 로 이름하여 이 절이 아도화상과의 관계가 있음을 잘 설명해주고 있다.

수선료를 마주하면 영가(靈駕)들을 달래는 목탁소리와 스님의 불경소리가 자주 들려오는 보은전(報恩殿)이 있다. 1층은 보은전(報恩殿)이고 2층이 설선당인 강당이다. 보은전은 평생 위패를 봉안한 곳으로, 이곳에 봉안된 영가들의 극락왕생을 기원하며 명절이나 기일마다 제(祭)를 지내고 있다. 규모가 작은 절에서는 명부전(冥府殿)으로 명명하여 지장보살을 모시고 영가들의 넋을 달래기도 한다.

불교용품점을 좌로하여 도리33천을 의미하는 33계단을 밝고 올라서면 아도화상께서 정좌(靜坐)하시고 금강경 제26분 ‘법신비상분(法身非相分)’을 펴놓고 중생들을 내려보고 계신다. 부처님을 먼 곳에서 찾지 말고 내 주위에서 찾으라는 의미일 것이다.

이곳 도리사에서 가장 높은 곳에는 부처님 진신사리를 모신 적멸보궁(寂滅寶宮)이 자리하고 있다. 적멸보궁이란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신 법당을 말한다. 따라서 불상을 별도로 모시지 않고, 법당의 뒤쪽에 진신사리를 봉안한 사리탑을 조성하여 법당 안에서 사리탑을 향해 예배를 올리게 된다. 1982년에 주지 법등(法燈) 스님이 사리 예배와 기도를 위하여 건립하였다. 법당 안에서 바라보이는 석가여래사리탑은 1977년 세존사리탑에서 발견된 사리 1과를 봉안하기 위해 1987년에 조성한 것이다.
높이 8m로 팔각원당형부도(八角圓堂形浮屠)를 본떠서 정방형 지대석 위에 팔각의 탑신을 세웠는데, 기단에는 용을 조각하고 탑신에는 사천왕상을, 상륜부의 귀 꽃에는 여래상을 조각하는 등 전체적으로 화려한 모습을 보여준다. 적멸보궁에서 바라보는 산 아래의 광활하게 펼쳐지는 자연의 모습은 경이로움을 자아낸다. 저 멀리 팔공산까지 조망되는 허공에 마음을 풀어 해쳐 번뇌로부터 자유로워지고픈 욕심 또한 과욕이리라!
적멸보궁에서 마음을 비우고 여러 발을 내려서면 범종각(梵鍾閣)이 자리한다. 종각은 일반적으로 범종, 법고(法鼓), 목어(木魚), 운판(雲版) 등의 사물(四物)을 걸어놓고 의식 때마다 소리를 내어 삼계(三界)의 미물들까지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전각이다. 도리사에는 범종각을 2005년에 건립하고 초입에 수막새의 천년에 미소를 배치하여 놓았다.

이제 사찰 내부는 거의 살펴보았고 안내소에서 서쪽으로 이른바 서대(西臺)라는 곳이 있다 스님들이 복잡한 마음을 좌선을 통하여 마음공부를 하는 곳이나 일반인들에게 개방된 곳이기도 하다. 문화재청장을 지낸 유홍준교수는 “구포에서 보는 낙동강은 장려(壯麗)하고 서대에서 보는 낙동강은 수려(秀麗)하다”고 했다. 이곳은 자주 찾는 이들이 많다. 이구동성으로 “속이 시원하다”, “장관이다”고 표현한다. “구름도 흘러가고 낙수도 흘러가고 우리네 인생도 따라 흘러가니 산천은 의구한데 인걸은 간데없네~. 자연의 조화에 그저 탄복할 뿐이다!”
해는 뉘엿뉘엿 지고 가을바람이 소슬하게 불어온다. 산사에 낙엽은 앞다투어 단장하기 시작하고 저 멀리 희뿌연 운무 속에 금오산이 빙그레 웃는다. 그 옛날 아도화상도 이 늦은 오후에 자연의 변화에 두고 온 고향과 저 서방정토를 오버랩하며 목탁을 두드려 금강경을 독송 하였으리라!

고구려에서 목숨을 걸고 신라에 불법을 전수한 아도화상의 흔적이 묻어있는 이곳을 불교의 교리를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문외한(門外漢)이 글을 쓴다는 아이러니를 독자들은 어떻게 생각할지 얼굴이 화끈거린다.
그러나 필자보다 도리사를 이해하지 못하는 분들에게는 도리사를 찾을 때 필시 도움이 되리라는 확신으로 이글을 올리니 이해해줄 것을 당부도 해본다.
이상과 같이 도리사를 소개하면서 다시 한 번 우리 고장의 문화재로서 자부심도 느끼며 천년고찰 도리사를 찾는 방문객들에게 마음에 각인되는 문화해설을 해야겠다는 다짐도 해보게 된다.


경북문화신문 기자 / gminews@hanmail.net입력 : 2022년 10월 18일
- Copyrights ⓒ경북문화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이름 비밀번호
자동등록방지
여규동
수막새는 지붕기와중에 둥근기와를 숫기와라 칭합니다.그마무리를 짖는 긑부분을 막새라 하는데 숫기와의 마지막 기와를 수막새라 합니다.인면문수막새 라고도 하며 경주 영묘사에서 출토되었답니다. 일제강점기에 일본인 다나까 도시노부가 골동품 가게에서 구입해 일본으로 반출 하였으나 광복이후 돌아온 환수 문화재이기도 하다.법종각 입구에 장식한 의도는 아마도 범종소리가 은은하게 펼처나가 중생들이 고통에서 벗어나면 환한미소를 짓지 않을까 하는 바램으로 장식햇을 것이라고 감히 추상 해봅니다
07/22 14:58   삭제
송정동민
우리동네 문화재에 대한 지식을 많이 알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도리사 갈때마다 궁금했는데
종각 입구에 있는 수막새는 무슨의미일까요?
10/27 11:25   삭제
개인정보 유출,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지역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가장 많이 본 뉴스
상주시, 적극행정 최우수 공무원...장아실 주무관..
구미, 아시아 최고의 육상 도시로 뜨겁게 달아오른다!..
구미시, 카드수수료 최대 50만 원 지원..
더불어민주당 구미시갑을지역위원회 결의대회 ˝진짜 대한민국을 만들어낼 것˝..
상주시 보건소·우체국, 경로당 30곳에 폐의약품 수거함 설치..
소설로 어루만지다 14] 가족..
구미시, 구미캠핑장·금오산야영장에 다회용기 도입..
김천시, LIG넥스원(주)과 3,000억 투자 협약 체결..
구미시 `여성친화기업` 공개 모집..
경북도, 6월부터 주택임대차 계약 미신고 과태로 부과..
최신댓글
충돌 우려로 이승환콘서트를 금지했던 구미시장은 왜 이번엔 잠잠하지요? 정치적 선동금지 서약을 받았나요? 이건 이승환콘서트 보다 더 큰 충돌 우려가 되는 이벤트인 것 같군요.
산과 함께한 내공이 느껴집니다. 멋지네요.!!
늦은감은 있지만 향토문화유산의 조명은 꼭 필요하고 중요한 일이라 기대를 하게 됩니다.
다자녀 혜택 때문에 그런거 아니고? 우리도 다자녀 농수산물 지원 5만원 사이소에서 사라길래 회원가입했는데 ...
8명이 시위 하는데 안전상의 문제라면 지나가는 개도 웃을판이네 아~ 찍새까지 9명인가?
요즘은 형곡동에서 사곡오거리로 아우토반 넘어가는 시작점부터 화물차들이 대놓고 주차해 놓던데 그 큰 도로에 화물차 주차가 말이 됩니까? 구미시는 왜 가만히 방치하는지 사고 나야 소잃고 외양간 고치려는지
특별히 개성 있는 것도 아니고 눈에 띄는 것도 아니고 희소성도 없고
그래서 가은중은 고려대 우리는 구미대? "
지자체나 출연기관, 보조금 단체 등이 주관하는 대부분 행사들이 취지나 명분만 포장하고 있고 내용의 진정성은 찾아보기 어렵다. 인사말과 자아자찬에 기념사진 남기기가 주요 사안인 것 같다. 다른 지역도 어느정도 닮은 꼴이겠지만 변화와 발전을 위한다면 좀 바뀌어야한다. 사진찍기에 동원되는 관계인들도 관계를 위한 자리가 아닌 목적과 가치를 짚어보는 자세로 이젠 바뀌어야 하지 않을까... 구미의 미래를 위한다는 명분이라면...
뭣이 중헌디?
오피니언
깨어 있는 한 자녀, 가족을 구하다-유은실의 .. 
세 곳째 병원을 다니고 있다. 병원이든 의원이.. 
《천자문》 주석에 “오악(五嶽)은 항산(恒山).. 
수면무호흡증(Obstructive Sleep .. 
여론의 광장
구미도서관, MZ세대 사서들의 ‘1인 1독서 1프로젝트 개발’..  
구미시노인장기요양기관연합회, 산불 피해 돕기 성금 1,250만 원 기탁..  
경북도, ‘딸기가 3배나 열려요’..  
sns 뉴스
제호 : 경북문화신문 / 주소: 경북 구미시 지산1길 54(지산동 594-2) 2층 / 대표전화 : 054-456-0018 / 팩스 : 054-456-9550
등록번호 : 경북,다01325 / 등록일 : 2006년 6월 30일 / 발행·편집인 : 안정분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정분 / mail : gminews@daum.net
경북문화신문 모든 콘텐츠(기사, 사진, 영상)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경북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