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북문화신문 |
|
경상북도가 난임과 저출생 문제 극복을 위해 올해부터 난임 시술 무제한 지원, 남성 난임 시술비 지원, 35세 이상 산모 의료비 지원 등 전국 최고 수준의 지원 정책을 시행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에 따르면, 경북의 난임 진단자는 2023년 7,794명에서 2024년 1만 9명으로 28.4% 증가했으며, 난임 시술 지원도 같은 기간 22.3% 늘어난 7,273건으로 집계됐다.
난임은 단순한 개인 문제가 아닌 국가 인구구조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문제로, 고비용 치료와 반복 시술로 인한 심리·경제적 부담을 덜기 위한 지원이 절실하다.
경북도는 2022년부터 소득과 관계없이 난임부부 지원을 전면 확대했으며, 2024년에는 체외수정 20회, 인공수정 5회 지원에 이어, 최근 심의회를 거쳐 난임 시술을 무제한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전국 최초로 남성 난임 시술비를 최대 100만 원까지 지원해, 환경오염·스트레스 등으로 증가한 남성 난임자들의 치료 부담도 줄인다.
아울러, 늦어지는 결혼으로 고령 임산부가 늘어남에 따라 35세 이상 산모에게 외래 진료·검사비를 임신 회당 최대 50만 원까지 지원한다. 해당 지원은 7월 1일부터 신청 가능하다.
경북도의 올해 1분기 난임 시술 지원은 전년 대비 810건 증가한 2,628건이며, 지난해 출생아 1만 300명 중 12.5%인 1,288명이 난임 시술을 통해 태어나 난임 지원이 실질적 성과를 내고 있다.
경북도는 난임센터(안동의료원)와 난임 임산부 심리상담센터(안동·김천의료원)를 운영하며, 생애 초기 건강관리 사업을 통해 맞춤형 건강·심리 상담, 영아 발달 교육 등을 종합 지원한다.
엄태현 경북도 저출생극복본부장은 “경북도는 임신 전부터 출산 후까지 다양한 지원 서비스를 통해서, 초저출생 시대에 임신·출산을 원하는 도민 모두가 안전하고 행복한 출산을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