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15일 구미시청 앞(경북문화신문DB) |
ⓒ 경북문화신문 |
|
‘‘공무원 폭행’으로 물의를 빚은 안주찬 구미시의원의 제명안이 지난달 23일 부결됐다. 안 의원의 제명을 강하게 요구했던 구미시공무원노조는 제명 대신 30일 출석정지라는 시의회 결정에 강하게 반발하며 시의회 현관 입구와 시청 앞 인도변에 근조 화환을 설치했다. 여기에 전국공무원노동조합도 동참하면서 구미시청 앞은 100여 개가 넘는 근조 화환으로 가득 메워졌다. ‘폭력의 공범이 된 구미시의회에 사망을 선고한다’, ‘구미시의회는 공직과 시민사회를 저버렸다’ 등 격렬한 문구와 함께.
근조 화환은 본디 망자에 대한 추모의 상징이지만 더 이상 장례식장에만 머물지 않는다. 애초의 추모 취지를 넘어 어느새 의사를 표현하고 현실을 규탄하는 수단으로 자리 잡았다. 이제는 집회나 시위 현장에서 빠지지 않는 풍경이 됐다.
근조 화환은 강렬한 상징성과 메시지 전달력 면에서 효과적인 수단으로 쓰인다. 그러나 구미시청 앞 화환은 그 위력이 다소 무뎌진 듯하다. 근조 화환이 향하는 시의원과 시의회가 좀처럼 꿈쩍도 하지 않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오히려 시민들에게 피로감만 안길 뿐이다. 장기간 방치된 화환들은 시각적 공해이자 안전을 위협하는 위험물로 전락했다.
구미시청이 빈소처럼 변한 지 20여 일이 지났다. 길게 늘어선 근조 화환을 바라보는 시민들의 시선은 곱지 않다. “언제까지 구미시가 장례식장처럼 있어야 하느냐”는 한숨이 곳곳에서 흘러나온다. 여기에 “여름철 집중호우나 태풍 등으로 화환이 쓰러질 경우 보행자나 차량 피해가 생길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더 이상 마냥 두고 볼 수 없는 일이다.
한편 구미시는 전국공무원노조에 오는 28일까지 자진 철거를 통보했으며, 불이행 시 행정대집행에 나서겠다는 방침이다. 구미시청 앞이 더 이상 장례식장이 아닌 시민의 공간으로 돌아오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