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시의회 김태근 의장의 ‘진정성 없는 사과문’으로 비난 대상이 구미시의회 전체로 확대되고 있다.
|
 |
|
ⓒ 경북문화신문 |
|
수의계약 및 재산등록 누락 등 일련의 사태로 구설에 오른 김 의장은 지난 1일 변명문에 가까운 ‘구미시민께 드리는 사과문’으로 화를 자초해 시민들로부터 뭇매를 맞고 있다.
사과문을 본 한 시민은 “80%에 가까운 지분이 있는데도 법인명의만 바꾼다고 해서 자기 것이 아니다는 발상에 어처구니가 없다. 또한 수의계약도 며칠 전 언론보도를 보고 처음 알았다는 것이 말이 되느냐”며 황당해 했다.
한편 정의당에서는 사과문이 나온 후인 5일 논평을 내고 “본인 소유 건설회사에 시의원 개인사무실을 마련했으며 선거 때에는 선거사무실로 써왔다”라고 밝히며 구미시의회에 ”이러한 사태의 재발을 방지하고 명명백백한 진실을 밝혀 실추된 의회의 위상을 회복하기 위해서 구미시의 수의계약 전반에 대해 구미시의회 의결로 감사원 공익감사를 청구하고, 드러난 불법행위에 대해서는 수사기관에 고발 해줄 것“을 요청했다. 이는 김 의장에게서만 끝낼 것이 아니라 시의회 전체로 화살이 돌아간 것이다.
제8대 구미시의회는 2018년 7월 출범 직후부터 공천과정에서 금품을 주고받았다는 의혹을 받고 사퇴한 더불어민주당 출신 마주희 의원과 어린이집 대표 등과 관련하여 윤리위에 회부된 자유한국당 소속 권재욱 의원 그리고 2019년 4월 특혜 의혹으로 자진 사퇴한 권기만 의원으로 이미 명예는 땅바닥까지 추락했다는 평을 받았다.
자숙을 촉구하던 목소리가 높던 구미시의회는 6월 자유한국당 김낙관 의원의 경로당 CCTV 영상 유출문제로 경찰수사가 의뢰되었으며, 그러한 와중 김태근 구미시의회 의장의 재산 등록 및 수의 계약 문제로 또 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또한 지난 9일 구미시의회에서 벌어진 더불어 민주당의 신문식 의원 등의 욕설 파문은 이제는 한계를 넘었다는 지적이다. 구미시의원들의 직업과 재산상태는 물론 도덕성 문제까지 정리해야 한다는 말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를 모르고 공천장을 준 더불어민주당이나 자유한국당 역시 문제라는 평가다. 한 구미지역 정치권 인사는 “이러한 시의원을 공천한 것이 누구인지 살펴봐야 한다”면서 더불어 민주당과 자유한국당의 공식 답변을 촉구했다. 이와 함께 기초자치단체장과 기초의원에 대한 정당공천제 역시 수면위로 떠오르고 있다.
“나는 몰랐다”는 진정성 없는 답변만으로는 구미시민들은 고사하고 시의원들에게서도 설득력을 잃고 있다. 특히, 구미시의회 김태근 의장은 일반 시의원이 아니라 구미시의회를 대표하는 구미시의회의 의장이다. 사과문 하나 발표하고 '모르세'로 침묵할 것이 아니라 일반 시의원과는 다른 차원의 진정성 있는 사과와 향후 예방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여론이 지배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