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북문화신문 |
|
구미시의회가 또 다시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의 편가르기로 이어지는 이념갈등에 빠져 파행국면에 접어들었다. 이번 회기에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의장직 사퇴를 요구하며 의정활동 보이콧을 선언했기 때문.
지난 15일 열린 구미시의회 본회의장에서 개회선언에 앞서 안장환의원은 “43만 구미시민이 의장으로 인정을 하지 않는다. 동료의원 다수가 의장직을 내려놓길 바라고 있다. 오늘 마지막으로 의사를 진행하는 것으로 했으면 좋겠다”며 의장직 자진사퇴를 요구했다. 이어 이선우·홍난이 의원도 의장직 사퇴를 요구하며 불신임안을 제안하며 회의장을 퇴장했다.
이는 지난달 27일 윤리특위에서 내린 결정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당시 윤리특위는 동료의원 발언 녹음 및 행정조사특별위원장으로서 알게 된 비밀을 누설한 의혹을 받고 있던 김택호 의원은 제명, 관급공사 수의계약 관련 의혹이 제기된 김태근 의장은 공개사과, 보조금조사특위 회의과정에서 서로 욕설을 파문을 일으켰던 신문식·장세구 의원은 경고, 경로당 CCTV 유출해 경찰의 수사를 받고 있던 김낙관(자유한국당) 의원은 불문처리했다.
하지만 더불어민주당 소속 의원들은 윤리특위의 결정을 인정하면서도 김태근 의장을 의장으로 인정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선우 의원은 “사안의 중차대성과 의회 위신 하락에 가장 큰 논란이 있었던 김태근 의장의 공개사과 징계를 겸허히 받아들이지만 의장으로서 역할을 더 이상 기대할 수 없다”며 의장직 사퇴를 요구하고 나섰다. 홍난이 의원도 “논란이 계속되는데도 의장 자리를 꿋꿋이 지키는 이유가 궁금하다”며 “모든 책임을 지고 의장직에서 물러나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자유한국당 소속 의원 11명은 18일 성명서를 통해 “더민주당 의원들은 지난달 27일 윤리특위와 본회의장에서 의원 징계에 대한 권리를 행사하고 투표까지 했다. 더구나 이번 징계 건은 민주당 6명의 의원들이 징계요구서에 서명을 해서 발의했고 징계결정까지 주도적으로 처리했다”며 “의원 징계와 관련한 모든 심문과 절차를 거쳐 걸과가 도출된 사안을 가지고 의장직 사퇴를 요구하는 것은 당사자들이 결정한 것을 스스로 부정하는 모순적 행위”라고 비판했다. 또 “절차를 거쳐 결과가 도출된 사안을 가지고 뜬금없이 의장사퇴를 재론하는 것은 제명에 따른 비판 여론을 희석시키기 위한 물타기식 정치공세가 아니냐”며 “의회가 본연의 기능을 다할 수 있도록 더 이상의 정치적인 분열을 행위를 중단하는 것은 물론 소통부재와 의회 혁신을 빙자한 사퇴 요구를 즉히 철회하고 시민들이 권한을 부여한 의정활동에 복귀할 것”을 요구했다.
한편, 지난 3월 구성된 구미시 보조사업 행정사무조사 특별위원회(이하 조사특위)는 회의과정 중 의원 간 다툼과 욕설이 오가는가 하면 결과 도출을 위한 대부분의 표결에서는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의 편 가르기로 이어지는 등 파행을 거듭하면서 결국 6개월여만에 해체 수순을 밟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