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산업발전의 근현대사를 함께한 구미산업단지의 조성과정을 기록 관리할 ‘대한민국 전자산업 발전기록관’ 건립이 제안됐다.
|
 |
|
ⓒ 경북문화신문 |
|
장세구 의원(신평·비산·공단)은 16일 열린 제242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5분 발언을 통해 1970년대 구미국가산업단지 조성 과정에서 공업단지 조성을 위해 삶의 터전을 내준 공단동 일원의 정주여건 개선방안 마련 촉구와 함께 ‘대한민국 전자산업발전기록관 건립’을 집행부에 제안했다.
장 의원에 따르면 구미국가산업단지 제1단지는 공단동 일원에 면적 1,040m²에 1973년 완공됐다. 제2단지와 달리 1단지는 공단조성계획이나 토지수용 과정에서 순조로운 과정을 거치지 못했다. 이렇다보니 이곳 주변 주민들은 사실상 제대로 보상도 받지 못하고 공단조성을 위해 조상 대대로 내려온 삶의 터전을 뒤로 한 채 구미시가 정해준 신평동 일원의 집단 주거지로 이주했다. 주민들은 공업단지 조성이 국가발전과 지역발전을 위해 필수적이라 믿고 희생을 감수했던 것이다. 또 최근에는 부지를 수용하면서 맞바꾼 이주단지 내 토지에 근거자료를 만들어 두지 못해 소송을 당하는 등 50년 공단조성 과정의 아픔이 주민들을 괴롭히고 있는 실정이다.
장 의원은 “구미국가산업단지 조성과 발전의 이면에는 삶의 터전을 잃어야했던 원주민들의 희생과 아픔이 고스란히 묻어 있다. 게다가 공단에서 발생되는 악취 등이 열악한 환경으로 인해 기본권 조차 보장받지 못하고 있다”며 “공단동 일원 지역민들의 정주여건 개선 방안을 마련해 주길” 촉구했다.
이어 “원주민들의 희생이 세월 속에 묻혀 사라지지 않도록 구미국가 산업단지의 조성과정과 발자취를 명확히 조명하고 기록 관리할 수 있는 전자산업 발전기록관 건립 추진”을 제안했다. 이와 함께 "구미공단이 섬유·방직에서 전자·정보 등에 이어 이제는 5G시대의 선두주자로 발돋움하는 역사성을 구전이 아닌 정확한 자료를 통해 지난 역사를 바로알고 50년간 축척된 산업 인프라를 바탕으로 구미공단의 미래를 긍정적으로 이끌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