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구미상공회의소 제공 |
ⓒ 경북문화신문 |
|
구미상공회의소(회장 윤재호)가 8일 2층 대강당에서 윤재호 회장, 장세용 구미시장, 김재상 구미시의회의장을 비롯한 기관단체장, 도·시의원, 회원사 대표 및 임직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2021년 하반기 구미지역 경제동향보고회'를 가졌다.
보고회는 구미지역 경제동향 보고와 함께 구미시 주요 사업 소개, 구미산단 제조혁신 미래산업 발전전략 발표, 지역산업 활성화 정책 설명, 구미강소연구개발특구 설명 등이 이뤄졌다.
윤재호 회장은 "올해 구미산단 실물경제가 호전되고 있는 가운데 5단지 분양가 인하로 인해 분양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이처럼 구미공단 경기가 호전될 기미가 보이는 시기에 KTX 구미정차와 같은 굵직한 현안 문제가 잘 풀린다면 지역경제 활성화에 더 박차를 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 "구미산단은 90%가 50인 미만 소기업인데 주52시간 근무제 유연화가 필요하며, 지방 우대형 투자보조금 지원은 물론, 지방에 기업부설연구소를 둔 기업에 대한 R&D 세액공제 확대 등이 절실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구미상공회의소는 지난 7일 기획재정부 등 관계기관에 지방에 기업부설연구소(전담부서)를 둔 기업에 대한 세액공제 확대’를 건의했다.
우리나라 기업부설연구소는 총 4만4,256개소(2021년 7월 기준)이며 이 가운데 2만7,482개소는 수도권에 1,450개소(3.3%)는 경상북도에 소재한다. 또 연구개발전담부서 총 3만1,870개 중 수도권에 1만9,965개(62.6%)가 있는 반면 경상북도에는 1,075개(3.4%)에 그치고 있다.
상공회의소는 이처럼 우리나라 주요 기업의 본사와 연구소가 수도권에 집중돼 있어 R&D 세액공제 혜택은 대부분 수도권 소재 기업이 받고 있으며, 특히 고급 연구 인력은 지방 근무를 기피하는 상황으로 지방에 기업연구소 또는 전담부서를 두고 있는 기업에게는 경제 형평성 차원에서 추가 혜택이 꼭 필요하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