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기고

박상수의 世說新語㉒

경북문화신문 기자 / gminews@hanmail.net입력 : 2019년 11월 28일
'이에 옷을 입다 乃服衣裳'
ⓒ 경북문화신문

인류문명의 변천에서 의복착용의 변천은 매우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 아프리카에서 처음 등장한 현생 인류가 각 대륙으로 퍼져 나가는데 결정적 역할을 했던 것 중 하나가 바로 의복의 착용이다. 인간은 다른 동물과 달리 두꺼운 털가죽을 장착(?)하지 않아 몸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옷의 착용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할 필수 조건이었다.
乃(이에 내)는 보통의 경우 허사로 부사적 용법으로 쓰이는 많다. 여기서는 ‘비로소’, ‘곧’ 등의 의미로 쓰여 지난 호에서 설명한 ‘시제문자(始制文字)’에서의 始(처음 시)자와 호응하여 시간의 추이를 나타내고 있다. 다시 말해 ‘처음 문자를 만들어내고 나서 곧바로 옷을 입다.’는 뜻이다.
服(옷 복)은 月(달 월 : 舟의 변형자)과 卩+又(다스릴 복)이 합쳐진 글자다. 원래는 ‘배[舟]에 태워서 죄인을 호송하는 일을 다스리다[卩+又]’는 의미에서 그 대상이 ‘복종하다’는 의미로 쓰이다가 이후 그 뜻이 ‘옷’의 의미로 전의되었다.
衣(옷 의)는 윗도리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일반적으로 衣자가 다른 글자와 합쳐지져 글자를 이루는 경우 亠와 그 나머지부분에 해당하는 글자가 아래위로 벌어지고 그 사이에 결합되는 글자가 들어간다. 裵(옷 치렁치렁할 배), 褱(품을 회)의 경우처럼 말이다.
裳(치마 상)은 발음을 결정한 尙(오히려 상)과 뜻을 결정한 衣(옷 의)가 합쳐진 글자다. 위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衣와 裳은 둘 다 ‘옷’이라는 뜻을 가졌지만 엄연히 구분되는 글자로 衣는 윗도리를, 裳은 아랫도리를 뜻한다. 지금은 거의 사라진 의상실(衣裳室) 또한 ‘윗도리와 아랫도리를 모두 만드는 집’이란 뜻이다.
지난 호에 설명한 문자의 탄생이 정신적 문명의 발전이라면 옷의 착용은 물질적 문명의 발전을 나타낸다. 홍성원의 《주해천자문》에서는 “상고시대에는 옷이 없어 나뭇잎과 짐승의 가죽으로 몸을 가렸는데, 황제(黃帝)과 관면(冠冕)과 옷을 만들어 엄숙하게 보이고 신분의 등급을 구분하였다. 이것이 의상(衣裳)의 처음이다.[上古 無衣裳 取木葉皮革以蔽體 黃帝爲冠冕衣裳 以肅觀瞻 以別等威 爲衣裳之始]”고 하였다. 여기서의 의상은 단순히 몸을 가리는 도구 이상으로 신분이나 사회적 질서를 상징하는 도구의 의미를 가졌다.


경북문화신문 기자 / gminews@hanmail.net입력 : 2019년 11월 28일
- Copyrights ⓒ경북문화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이름 비밀번호
자동등록방지
개인정보 유출,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지역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가장 많이 본 뉴스
구미국가산단 5단지 진입도로 개통..
구미 청년작가 열전⑥]`펜싱에서 수묵으로` 자연과 내면을 담아내는 최소정 작가..
전국공무원노조, 안주찬 시의원 제명안 부결 규탄...`근조화환` 투쟁..
상주시, 소셜다이닝 ‘달콤한 수다’...예산은 ‘씁쓸’..
이은경 작가 ‘어화(漁畵)`, 경상북도 공예품대전 대상..
[인사]구미시..
이일배의 살며 생각하며(13)]문화를 찾아서..
구미시민이 모은 문화유산, 한자리에..
국립금오공대 ICT융합특성화연구센터, 한국통신학회 우수논문상 2편 수상..
구미 다온숲, 쓰레기 매립장서 ‘수국 정원’으로 변신..
최신댓글
충돌 우려로 이승환콘서트를 금지했던 구미시장은 왜 이번엔 잠잠하지요? 정치적 선동금지 서약을 받았나요? 이건 이승환콘서트 보다 더 큰 충돌 우려가 되는 이벤트인 것 같군요.
산과 함께한 내공이 느껴집니다. 멋지네요.!!
늦은감은 있지만 향토문화유산의 조명은 꼭 필요하고 중요한 일이라 기대를 하게 됩니다.
다자녀 혜택 때문에 그런거 아니고? 우리도 다자녀 농수산물 지원 5만원 사이소에서 사라길래 회원가입했는데 ...
8명이 시위 하는데 안전상의 문제라면 지나가는 개도 웃을판이네 아~ 찍새까지 9명인가?
요즘은 형곡동에서 사곡오거리로 아우토반 넘어가는 시작점부터 화물차들이 대놓고 주차해 놓던데 그 큰 도로에 화물차 주차가 말이 됩니까? 구미시는 왜 가만히 방치하는지 사고 나야 소잃고 외양간 고치려는지
특별히 개성 있는 것도 아니고 눈에 띄는 것도 아니고 희소성도 없고
그래서 가은중은 고려대 우리는 구미대? "
지자체나 출연기관, 보조금 단체 등이 주관하는 대부분 행사들이 취지나 명분만 포장하고 있고 내용의 진정성은 찾아보기 어렵다. 인사말과 자아자찬에 기념사진 남기기가 주요 사안인 것 같다. 다른 지역도 어느정도 닮은 꼴이겠지만 변화와 발전을 위한다면 좀 바뀌어야한다. 사진찍기에 동원되는 관계인들도 관계를 위한 자리가 아닌 목적과 가치를 짚어보는 자세로 이젠 바뀌어야 하지 않을까... 구미의 미래를 위한다는 명분이라면...
뭣이 중헌디?
오피니언
-이순원의 『19세』 @IMG2@행복’의.. 
一善郡은 《삼국사기》에 선산 지명으로 처음 등.. 
생활습관을 교정해도 낫지 않아요 약물은 .. 
내가 15년째 살고 있는 지역의 ‘문화진흥회’.. 
여론의 광장
구미대, 나노헬스케어 500만원 상당 물품 기증 받아..  
상주시청 조선영 선수, 국제사이클대회 은빛 질주..  
구미시, 공실 원룸 활용한 청년 주거 지원사업 본격 추진..  
sns 뉴스
제호 : 경북문화신문 / 주소: 경북 구미시 지산1길 54(지산동 594-2) 2층 / 대표전화 : 054-456-0018 / 팩스 : 054-456-9550
등록번호 : 경북,다01325 / 등록일 : 2006년 6월 30일 / 발행·편집인 : 안정분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정분 / mail : gminews@daum.net
경북문화신문 모든 콘텐츠(기사, 사진, 영상)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경북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