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북문화신문 |
|
위문장을 《천자문(千字文)》 주석(註釋)에는 “임금이 치적을 이루는 요체는 다만 몸을 공손히 한 채 조정에 앉아 어신사람을 존경하고 왕도(王道)를 물어 논의함에 달려 있을 뿐이다.[人君爲治之要 只在恭己而坐朝 尊賢問道而已]”라고 풀이하였다. 사람의 지식이나 능력에는 한계가 있다. 때문에 이를 극복하기 위한 가장 빠르고 합리적인 방법은 훌륭한 신하의 도움을 받아 그들과 함께 지력을 보아 정사를 펴는 것이다. 이것이 가장 효과적으로 왕도를 실현하는 방법이었다.
坐(앉을 좌)는 흙덩이[土] 위에 나란히 앉은 두 사람의 모습을 본뜬 글자다. 건축물[广] 안에 앉아 있는 모습[坐]을 본뜬 글자인 座(자리 좌)와 아주 흡사한 글자다. 그래서 座자를 건축물을 세는 단위로도 쓴다.
朝(아침 조)는 아래위로 나누어진 艹(풀 초)와 그 사이에 떠 있는 해[日]와 달[月]의 모습이 합쳐진 회의자이다. 지평선 위 풀 사이로 해는 아직 떠오르지 않고 달은 서쪽으로 지지 않은 이른 시간인 ‘아침’을 의미한다.
問(물을 문)은 발음을 결정한 門(문)과 뜻을 결정한 口(입 구)가 합쳐진 글자다. 또 門은 대문을 본뜬 상형자로 ‘집안’, ‘가문’, ‘집’ 등의 뜻이 있는데, 상대방의 집[門]을 방문하여 입[口]으로 안부를 묻다[問]는 의미로도 쓰인다.
道(길 도)는 흔히 ‘책받침’이라고 잘못 부르는 부수 辶(쉬엄쉬엄 갈 착)과 首(머리 수)가 합쳐진 글자다. 허신(許愼)은 《설문해자(說文解字)》에서 “도(道)란 다니는 길이다. 착(辵)과 수(首)가 합쳐진 글자다. 일달(一達)을 도라고 한다. 도(導)는 고문의 도(道)로 수(首)와 촌(寸)으로 구성되어 있다.[道 所行道也 從辵從首 一達謂之道 導 古文道 從首寸]”라고 설명하고 있다. 道는 사람이 통행하는 ‘길’이란 의미에서 사람이 가야 할 길인 ‘도리(道理)’의 의미로 뜻이 파생되었다. 또 ‘길’의 의미를 가진 글자로 途(길 도)·道(길 도)·路(길 로)가 있는데, 이 세 글자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途는 한 대의 수레가 다닐 수 있는 좁은 길, 道는 두 대의 수레가 다닐 수 있는 중간 크기의 길, 路는 세 대의 수레가 다닐 수 있는 넓은 길을 이른다. 지금을 구별 없이 동일한 뜻으로 쓰인다.
유학에서 지향하는 이상적인 정치적 행위는 ‘좌조문도(坐朝問道)’는 고려와 조선시대에도 경연(經筵)이라는 형태로 시행되었다. 이러한 제도를 통해 왕은 신하들과 치열한 논쟁을 거쳐 얻어낸 결과물을 정치라는 무형의 가치로 발현함으로써 왕도정치의 실현에 노력하였다. 세종은 20년 재위기간 동안 매일 경연을 열었고, 성종은 25년 재위기간동안 매일 3차례씩 경연을 열어 대신들의 의논을 경청하였다. 이것이 조선이 500년을 이어 올 수 있었던 원인 중 하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