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북문화신문 |
|
전국에서 처음으로 구미에 지능형 횡단보도용 교통안전 시스템이 설치됐다.
구미시에 따르면 지난 4일 부터 구미시 옥계동 옥계초등학교 어린이보호구역 내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 1곳에 이 시스템을 시범 설치, 가동중이다.
최근 스쿨존 내 교통사고가 급증하면서 ‘민식이법’ 등 어린이 보호구역내 어린이 안전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날로 커지고 있는 가운데, ICT기반 딥러닝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횡단보도 설치는 어린이 교통사고 예방에 새로운 모멘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스마트 횡단보도는 센서를 통해 횡단보도에 접근하는 보행자와 차량, 교통신호 등 변화를 사전에 인식해 횡단보도 표지판과 도로 바닥 조명 및 정지선(등)이 자동 점멸되거나 자동 점등된다. 야간이나 기상악화로 인한 악천후 시 운전자에게는 시인성을 향상시켜 교통사고를 예방하는데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공모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된 스마트 횡단보도 시범 구축은 총사업비 4억7천여만원을 투입해 ㈜와이즈드림 주관, 구미전자정보기술원, ㈜토이코스 등이 참여한 가운데 연구개발된 성과물이다. 이번에 개발된 스마트 횡단보도 기술은 과기부 우수 정책 사례로 선정되어 지난달 22일 행정안전부 주관 '제1회 대한민국 정부혁신박람회'에도 체험부스를 설치, 시연을 펼쳐 호평을 받기도 했다.
시범 구축한 스마트 횡단보도는 인공지능(AI) 딥러닝 첨단기술 기반의 도로노면 배면발광 횡단보도로서 구미시가 전국 최초이다. 현재 지자체별로 스마트 횡단보도를 활발히 도입하고 있으나 실제 주행 도로위 배면발광판의 적용과 발광판 규모면에서 현저한 차이가 있다. 보도 설치의 관건은 횡단보도 바닥조명의 도로매설과 배면발광 정지선의 내구성 유지에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개발된 기술을 적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