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의 반려견 인구가 1천만 시대에 들어서면서 구미시 반려견 인구도 급속히 늘고 있는 추세다. 현재(2020년 11월) 구미시에 등록된 반려견 수는 1만 7,720마리로 지난해 대비 1,028마리가 하는 증가하는 등 반려견을 키우는 인구도 계속 늘어나고 있다. 미등록된 반려견이나 반려묘 등까지 포함하면 구미시 반려동물 인구는 전체 인구의 1/4인 10만 명에 이른다.
반려견 인구가 계속 늘어나고 시민들의 공간마련 요구 또한 증대되고 있는 가운데 구미시는 2018년 동락공원에 대구경북 최초로 반려견 놀이터를 조성한데 이어 첫 번째로 반려견 축제를 개최, 올해로 4회 대회를 거듭해오면서 구미의 대표 축제 중 하나로 자리매김해 가고 있다.
|
 |
|
ⓒ 경북문화신문 |
|
이처럼 구미가 반려동물 도시로 거듭날 수 있었던 것은 장미경 구미시의회 의원의 집요한 노력으로 이뤄낸 결실이라 할 수 있다. 장 의원은 8대 구미시의원 초선으로 입문해 반려견에 꾸준히 관심을 갖고 이와 관련한 조례를 제정해 반려견 축제 예산을 100% 증액시켰고, 반려견 놀이터의 화장실 및 포토존 조성, 조형물 설치 등 반려가족들이 놀이터를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환경을 개선하는데 톡톡히 역할을 했다.
“처음에 반려축제에 대한 예산이 부족해 아쉬웠는데 조례가 없다보니 예산을 지원할 근거가 없었어요.”
장 의원이 8대에 들어와서 첫 번째 조례안을 만든 계기는 반려축제에 대한 예산 확보였다. 이를 통해 100% 예산증액이라는 결실을 이끌어 제1회 반려견 축제를 성공시킬 수 있었다. 축제를 진행하면서 가족이 함께 갈 화장실이 없다는 것이 애로사항으로 부각돼 예산이 확보되지 않은 상황인데도 어렵게 예산을 마련해 화장실을 설치했다. 이외에도 반려견 놀이터에 대한 설명이 부족해 구미의 의우총과 의구총 이야기를 넣어 간판을 설치하기도 했다.
놀이터의 조형물 탄생도 쉽지 않았다. 포토존이 아쉽다는 의견이 제기되자 예산수립과 함께 조형물 설치를 위해 소속부서가 아닌데도 불구하고 담당부서와 10여 차례이상 회의를 진행하면서 손수 자료를 찾고 검증을 거치는 등 시간과 열정을 쏟았다.
동락공원 반려견 놀이터 중 장 의원이 손길이 가지 않은 곳이 있을까. 지난 3년간 새벽과 밤, 낮을 가리지 않고 동락공원을 50번도 더 가봤다는 장 의원의 노력에 힘입어 전국에서 찾아오는 반려견축제 문화가 구미에 조성될 수 있었다는 평가다.
장 의원은 “반려견 놀이터 대구경북 1호 조성, 1회 반려견 축제 개최를 확장시켜 관광산업과 연계해 구미의 대표축제로 만들기 위해 애착을 갖고 예산확보나 불편한 시선들을 바꾸기 위해 개엄마 소리를 들어가면서 나름대로 열심히 노력해왔다”며 “최근 반려동물 수가 급증하는 만큼 성숙하고 올바른 반려동물 문화를 만들어 가는데도 앞으로도 힘을 보태겠다”고 밝혔다.
한편, 시는 반려동물 보호센터에 추가해 놀이터, 산책로, 카페 등을 종합적으로 갖춘 반려동물 문화공원을 조성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지난 9월 확보한 국비 예산 20억 원을 활용해 내년 기본계획 용역 과정을 통해 후보지를 선정하고 이르면 2022년까지 준공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