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박상수 한학자 |
ⓒ 경북문화신문 |
|
《천자문》 주석에 “여상이 반계에서 낚시질하다가 옥황(玉璜)을 얻었는데, ‘희성이 천명을 받는데 여씨가 시대를 돕는다.’는 글이 있었다. 아형은 상(商)나라 재상의 칭호이다.[呂尙 釣磻谿 得玉璜 有文曰 姬受命 呂佐時 阿衡 商宰相之稱]”라고 하였다.
佐(도울 좌)는 亻(사람 인)과 左(왼쪽 좌)로 구성된 글자로, 곁에서 도움[左]을 주는 사람[亻]의 의미를 가졌다. 그래서 ‘보필하다’, ‘보좌하다’는 등의 뜻으로 주로 쓰인다.
時(때 시)는 날을 뜻하는 日(날 일)과 발음을 결정한 寺(절 사)가 합쳐진 글자이다. 日은 누구나 알 듯이 해의 모양을 본뜬 글자이고, 寺는 처음에는 관청이란 뜻으로 ‘시’로 발음하였다. 持(가질 지), 詩(시 시), 侍(모실 시) 등에 ‘시’의 발음이 그대로 남아 있다. 寺는 발의 모양을 본뜬 之(갈 지)와 손의 모양을 본뜬 寸(마디 촌)이 합쳐진 글자이다.
阿(언덕 아)는 뜻을 결정한 阝(언덕 부)와 발음을 결정한 可(옳을 가)가 합쳐진 글자이다. 可는 농기구와 입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노래를 하며 일을 하는 상황을 본떴다. 노동요는 동일한 일이라도 수월하도록 돕는다. 때문에 ‘가능하다’, ‘할 수 있다’는 의미로 쓰였다.
衡(저울대 형)은 行(다닐 행)과 角(뿔 각)과 大(큰 대)가 합쳐진 글자로, 소의 뿔[角]에 큰[大] 가름대[橫木]을 묶어 길[行]을 가는 모습을 본뜬 글자이다. 이후 그 모습이 저울대와 비슷하여 ‘저울대’라는 뜻으로 주로 쓰이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