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박상수 한학자 |
ⓒ 경북문화신문 |
|
《천자문》 주석에 “곡부는 노나라 땅이다. 주공이 큰 공로가 있으므로 노나라에 봉해져 도읍을 곡부에 정하였다.[曲阜 魯地 周公 有大勳勞 封於魯 定都於曲阜也]”라고 하였다.
奄(취할 엄)은 ‘가리다’는 뜻으로 많이 쓰인다. 갑골문에서는 지금의 자형인 大와 申이 아닌, 申이 위에 있고 大가 아래에 있는 자형을 갖추고 있다. 번개[申]가 크게[大] 쳐서 하늘을 뒤덮어 가리는 상황으로 이해된다.
宅(집 택)은 지붕의 모양을 본뜬 宀(집 면)과 발음을 결정한 乇(부탁할 탁)이 합쳐진 글자이다. 宀으로 구성된 글자는 주로 ‘집’을 뜻한다. 广(집 엄) 역시 집을 뜻하는 글자이지만 오른쪽 지붕이 생략된 형태의 자형을 하고 있다. 이는 자연물이나 기존 가옥의 벽에 달아내어 만든 창고와 같은 부속 구조물을 뜻한다. 서울에서 시집오거나 대구에서 시집온 여자를 ‘서울댁’, ‘대구댁’이라고 부르는데, 이때는 ‘댁’이라고 발음한다.
曲(굽을 곡)은 가는 나무를 굽혀 만든 광주리의 모양을 본떴다. 때문에 ‘바르지 않다’는 뜻으로도 쓰인다.
阜(언덕 부)는 防(막을 방), 隄(둑 제)의 경우처럼 다른 글자와 결합할 때는 阝의 자형으로 바뀐다. 흙으로 된 언덕의 모습을 본떴다. 邑(고을 읍)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다른 글자와 결합될 때는 ⻏의 자형으로 바뀌는데, 鄭(나라 정), 郡(고을 군)과 같은 경우이다. 이때는 오른쪽에 붙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