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박상수 한학자 |
ⓒ 경북문화신문 |
|
《천자문》 주석에 “백기(白起)와 왕전(王翦)은 진(秦)나라 장수이고, 염파(廉頗)와 이목(李牧)은 조(趙)나라 장수이다.[白起王翦 秦將 廉頗李牧 趙將]”라고 하였다.
起(일어날 기)는 走(달릴 주)와 己(몸 기)가 합쳐진 글자이다. 몸[己]을 일으켜 달리는[走] 상황을 본떴다.
翦(자를 전)은 발음을 결정한 前(앞 전)과 우(羽)가 합쳐진 글자로, 새의 깃[羽]을 나란히 자른 상황을 본떴다. 前은 지금은 많이 변하여 원래의 자형을 파악하기 어렵지만 舟(배 주)와 止(그칠 지)가 합쳐진 글자로, 배[舟]를 타고 앞으로 나아가다[止]는 의미를 가졌다. 羽는 두 개의 새의 깃 모양을 본떴다.
頗(자못 파)는 발음을 결정한 皮(가죽 피)와 한쪽으로 머리[頁, 머리 혈]를 기울여 바르지 않다는 뜻인 편파(偏頗)의 의미로 쓰인 글자이다. 지금은 주로 ‘자못’ 등의 뜻으로 쓰인다.
牧(칠 목)은 손에 회초리를 쥐고[攵, 칠 복] 소[牛, 소 우]를 기르는 상황을 본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