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북문화신문 |
|
대구시가 지난 3일 대구취수원 문제에 대해 구미 해평취수장 또는 안동 임하댐을 활용해 취수하겠다는 취수원 다변화에 대한 담화문을 발표했다. 또 6일 환경부는 이 같은 내용의 용역 중간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구미시는 취수원 이전을 전제로 한 물 배분 방안 용역은 동의할 수 없다고 반발하고 나섰다.
대구취수원 구미이전 구미시 범시민반대추진위원회와 구미시 민관협의회(이하 반추위 및 민관협의회)는 7일 성명서를 내고 "대구시는 환경부의 연구용역 목적을 벗어난, 취수원 이전이라는 전제조건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낙동강 물 배분 방안이라는 그럴듯한 명분을 내세워 취수원 다변화에 관한 담화문을 발표했다“며 "이는 구미시민뿐만 아니라 낙동강수계 전체 주민들은 안중에도 없는 것으로 대구시의 뻔뻔하고 무책임한 태도를 강력 규탄한다"고 밝혔다.
환경부의 '낙동강 유역 통합물관리 방안 연구 및 폐수무방류 도입연구 용역'은 낙동강 본류 수질개선이라는 원칙하에 상·하류 유역 간의 갈등을 극복하고 통합 물관리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반추위 및 민관협의회는 "상호협력 합의문(2019.4.19)에서 어떠한 전제도 없이 공정하고 중립적으로 연구를 수행하고 용역 추진과정에서 관련 지방자치단체 등 이해당사자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 반영한다고 기본원칙을 정했음에도 불구하고 대구시는 구미시민뿐 아니라 낙동강 수계 주민들까지 끌어들여 취수원 이전과 다름없는 공동활용을 내세우고 있다"며 "물 문제는 구미 시민의 생존권을 결정하는 중차대한 사안이므로 구미시장이 단독적으로 결정하는 것은 결코 용납할 수 없다"고 밝혔다.
특히 "지역민의 정서를 잘 알지도 못하는 일부 정치인들이 표를 구걸하면서 구미시민 뿐만 아니라 낙동강수계 주민들까지 끌어들여 사전 논의도 없이 취수원 이전을 거론하는 것은 언어도단이며, 결코 좌시하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환경부에도 "정치권 언론에 휘둘리지 말고 중립적 입장에서 낙동강 전 수계를 살리는 수질보전 대책을 수립해 낙동강 수계 1300만 시민들에게 맑은 물 공급을 위해 노력하라"고 요구했다.
한편, 구미경실련은 7일 성명서를 통해 "대구시가 이전에서 다변화로 선회하면서 대구사용 취수량이 하루 43만 톤에서 30만 톤으로 줄어든 것은 긍정적이다. 여기에 '구미 물 1리터도 손해나지 않는 '가변식 다변화''로 바꾸고 구미경제위기 전면적 지원대책을 결합시킨다면 대화의 물꼬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