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해평취수원(경북문화신문DB) |
ⓒ 경북문화신문 |
|
지난 4월 체결한 낙동강 통합 물관리 협정이 지자체장이 바뀌면서 실효성을 잃고 다시 원점으로 돌아가는 모양새다.
11일 홍준표 대구시장은 안동시장을 만나 안동댐과 임하댐의 물 60만톤을 취수한다는 '맑은 물 하이웨이'계획안을 전달했다. 대구 취수원 안동이전으로 사실상 구미이전을 파기한 셈이다.
김장호 구미시장 역시 낙동강 통합 물관리 협정을 체결하는 지난 과정에서 시민동의를 거쳐 체결하라는 조건을 어기고 구미시민이나 시의회 동의없이 체결한데다 당시 체결에 참여한 환경부장관과 대구시장, 구미시장은 현재 교체됐고 경북도지사는 체결에 참석하지 않았기 때문에 실효성이 없다며 재검토를 주장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일부 시민단체 등 시민들은 대구 취수원 구미이전이 파기되면 구미산단 공동화 우려 등 구미에 이익이 될 것이 없다며 이를 저지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구미경실련은 "대구시가 안동시에 60만톤 요구안을 전달한 것은 대구 취수원 구미이전을 실제로 파기한 것이다"며 "이로 인해 대구시가 대구상수원보호구역을 해제한 후 산업단지를 조성하면 구미공단은 직격탄을 맞을 것이다"고 우려했다. 정주여건과 인력공급에서 대구가 구미보다 압도적으로 유리하기 때문이다.
또 "지난 4월 체결한 대구 취수원 다변화는 기존 대구 취수장을 존치해 하루 28만톤 취수하는 방안이기 때문에 법적으로 상수원보호구역을 해제할 수 없다. 대구산단 확장으로 인한 구미산단 공동화를 막을 수 있는 구미에 유리한 방안이다"며 "자칫 방심하다가 대구산단확장으로 구미산단 공동화 우려가 현실화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
이어 "구미산단 공동화는 경북경제 뿐만 아니라 구미에 출퇴근하는 대구시민 등 대구경제에도 큰 타격이다"며 "이철우 도지사가 나서서 KTX구미역정차 등 대구와 구미 모두에 이익인 중재안을 만들어 대구경북 상생 중재에 나서야 할 때다"고 강조했다.
일부 시민들 또한 협상은 지켜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시민 A씨(송정동, 50대)는 "협정 무효화는 구미에 결코 득이 될 것이 없다. 구미시는 기존의 협상 위에 더 보태지는 방향으로 끌고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또 취수원을 구미보까지 올리는 방안과 관련해 "취수원을 구미보까지 옮기는 것에 찬성하지 않을 구미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하지만 상수도보호구역이 어디까지 미칠것인지, 상주와 의성과의 이해관계는 어떻게 풀어야할지, 구미가 받을 수혜가 어떻게 될지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같은 협상이 이어진다며 김장호 시장 대에는 이루어질 가능성이 없다"며 "그동안 취수원 이전을 놓고 찬성과 반대로 갈린 주민들의 갈등이 봉합되기도 전에 성과도 없이 다시 원점으로 되돌아 가는 것이다"며 안타까운 심경을 드러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