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딸기 수직재배 농가 사례발표 장면(사진제공 경북도) |
ⓒ 경북문화신문 |
|
경북도에 따르면 지난 14일 경주시 천북면 딸기재배 농가에서 경상북도농업기술원(이하 농업기술원)이 ‘딸기 수직재배 기술보급’시범사업 평가회를 개최했다.
평가회에는 딸기 수직재배 시범농가와 딸기 특화작목 특구(고령) 사업 참여농가 등 30여 명이 참석했다.
딸기 수직재배 기술보급사업은 농업기술원에서 개발한 수직재배 시스템을 적용한 시범사업으로 지난해 포항, 경주, 김천, 안동, 구미, 상주 등 9개 농가에서 신규 추진해 현재 수확이 한창이다. 올해는 청도 등 3개 시군에서 추진될 예정이다.
수직재배기술은 고설베드 위에 받침대를 설치한 후 특허화분을 아파트 형태의 다단으로 설치해 단위면적당 생산량을 향상시키는 혁신 기술이다.
이번 평가회는 수직재배 시스템 소개와 특허기술을 공동 개발한 업체의 설치 유의사항 설명, 사업추진 농가 사례공유, 현장 견학으로 진행됐다.
특히, 경지면적은 적으나 생산량을 늘리고 싶은 농가와 체험활동을 위주로 하는 농가의 경우 다양한 볼거리 제공이 가능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일조량과 관수 관리에 대한 시범사업 농가의 사례를 공유하며 발전 방안을 모색했다.
지난해 사업을 추진했던 김천시 ‘달보드레 농장’ 대표는 “경북농업기술원에서 육성한 딸기품종(알타킹, 비타킹)을 수직재배 시설에서 재배하면서 소득을 톡톡히 올리고 있고, 적은 면적에서 집중관리 할 수 있어 고령농가로서 장점이 있다”고 했다.
경주시 ‘막내농부’ 대표는 “새로운 재배 방식으로 체험객들의 호응도 좋고 수량도 많아 확대 설치할 의향이 있다”며 사업에 대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고대환 농업기술원 기술보급과장은 “딸기 3단 수직재배 기술을 활용해 하우스 추가 설치 없이도 생산량을 3배로 늘릴 수 있는 수직재배 시스템을 확대 보급해 딸기재배 농가의 소득증대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