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문화일반

`왜 퇴계의 귀향길을 걷나?` 퇴계 귀향길 걷기 행사의 의미는?

안정분 기자 / 입력 : 2023년 03월 27일
퇴계선생 마지막 귀향길 재현 '지방 살리는 시대정신 재조명'
↑↑ 경북도 제공
ⓒ 경북문화신문
1569년 3월 4일, 선조 3년, 69세의 퇴계(이황, 1501~1570)는 임금과 조정 신료들의 간곡한 만류에도 불구하고 귀향길에 올랐다. 몇 달에 걸쳐 사직 상소를 올린 끝에 겨우 얻어낸 윤허였다. 퇴계는 벼슬자리에 나아가는 것을 달가워하지 않았다. 그의 생애는 임금의 부름과 물러남의 연속이었으나 이날이 그의 마지막 물러남이 됐다. 

퇴계는 왜 귀향의 길을 염원했을까? 그 귀향길이 의미 있는 것은 거기에 그 필생의 소망이 담겨있기 때문이다. 그는 궁극적으로 ‘착한 사람이 많아지는 세상’을 소망했다. 그 소망을 위해서는 ‘사람다운 사람’을 키워내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했고 그 일은 조정에 머무는 것보다 고향에 내려가서 더 잘할 수 있는 일이라 믿었다. 그런 퇴계의 꿈은 ‘참사람’을 키워내는 지역의 사립 교육기관 서원 설립운동으로 이어진다. 그러므로 퇴계의 귀향길은 물러남의 길이면서 더 큰 꿈을 향해 나아가는 길이기도 했다.

↑↑ 퇴계선생 마지막 귀향길 걷기 노정지도
ⓒ 경북문화신문
경상북도가 안동시와 도산서원과 함께 27일부터 4월 9일까지 14일간의 일정으로 '퇴계선생 마지막 귀향길 재현행사'를 한다. 올해로 4회째인 퇴계선생 귀향길 걷기 행사는 경복궁 사정전에서 그의 고향인 안동 도산서원까지 454년 전 그가 걸었던 행로 약 270km를 그대로 따라 걷는 행사이다. 

45명으로 구성된 재현단은 선조에게 하직 인사를 하고 귀향길에 오른 경복궁에서 도산서원까지 총 270㎞ 거리의 퇴계선생 발자취를 따라 걷게 된다. 또 서울시를 비롯한 경기도(남양주, 양평, 여주), 강원도(원주), 충북도(충주, 제천, 단양), 경북도(영주, 안동) 등 5개 광역자치단체를 지나며 역사유적·문화유산에 대해서도 알아가는 시간을 가진다.

수백 년 전 인물 퇴계의 귀향길을 오늘 다시 걷는다는 것은 단순히 길을 걷는다는 의미만이 있는 것이 아니다. 그 길을 걸었던 퇴계의 소망과 철학을 오늘 다시 되새기는 길이기도 한 것이다. 퇴계는 시간 속에 화석화된 위인이 아니다. 그의 가르침은 현재에도 여전히 유효하며 여전한 울림으로 살아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의 길을 따라 걷는 것은 그가 소망했던 ‘착한 사람이 많아지는 세상’을 위해 나와 너와 우리가 무엇을 깨닫고 어떤 행동을 지향해야 할 것인가를 생각하는 길이 될 수밖에 없는 것.
행로 중 ‘퇴계가 골짜기로 간 까닭은?’(배병삼 교수, 2일차 봉은사), ‘퇴계와 이지번을 둘러싼 조선의 선비사회’(이문원 교수, 9일차 청풍 한벽루), ‘퇴계는 왜 서원운동을 펼쳤나?’(정순우 교수), ‘이산서원과 퇴계의 제자들’(강구율 교수, 이상 12일차 영주 이산서원) 같은 강연이 마련된 것도 이같은 생각들 돕기 위해서이다.

↑↑ 경북도 제공
ⓒ 경북문화신문
이번 걷기 행사의 참가자들은 퇴계학을 공부하는 사람들뿐 아니라 기독교인도 있고, 다른 학파의 후손도 있으며 어린이, 청소년, 남녀노소 구별이 없다. 이들이 함께 걸으며 퇴계정신을 되새기게 될 것이다. ‘착한 사람이 많아지는 세상’은 퇴계의 꿈이며 여전히 우리 모두의 꿈이다.

이에 더해 경북도는 이번 재현행사를 통해 퇴계 선생의 정신을 되새기고 지방시대를 이끌어 가는 정신적 토대로서의 의미에 중점을 뒀다. 퇴계선생이 지방에 내려와 서원을 만들면서 유능한 인재들이 지방으로 모였고, 그로 인해 인구가 늘고 지역경제가 번영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라는 것.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퇴계선생 마지막 귀향길을 통해 실천과 공경, 배려, 존중의 선비정신을 실천하고, 특히 서원을 통한 지방 인재 양성, 지역공동체 형성, 지방인구 유입 등 지방시대에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신 퇴계선생의 가르침을 되새겨 지방시대를 열어가는 제2 퇴계혁명의 정신으로 계승·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안정분 기자 / 입력 : 2023년 03월 27일
- Copyrights ⓒ경북문화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이름 비밀번호
자동등록방지
개인정보 유출,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지역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가장 많이 본 뉴스
구미, 아시아 최고의 육상 도시로 뜨겁게 달아오른다!..
구미시, 카드수수료 최대 50만 원 지원..
더불어민주당 구미시갑을지역위원회 결의대회 ˝진짜 대한민국을 만들어낼 것˝..
상주시 보건소·우체국, 경로당 30곳에 폐의약품 수거함 설치..
소설로 어루만지다 14] 가족..
상주시 꿈드림 학습지원단, ‘올해도 힘냅니다’..
구미시, 구미캠핑장·금오산야영장에 다회용기 도입..
김천시, LIG넥스원(주)과 3,000억 투자 협약 체결..
경북도, 6월부터 주택임대차 계약 미신고 과태로 부과..
구미시 `여성친화기업` 공개 모집..
최신댓글
충돌 우려로 이승환콘서트를 금지했던 구미시장은 왜 이번엔 잠잠하지요? 정치적 선동금지 서약을 받았나요? 이건 이승환콘서트 보다 더 큰 충돌 우려가 되는 이벤트인 것 같군요.
산과 함께한 내공이 느껴집니다. 멋지네요.!!
늦은감은 있지만 향토문화유산의 조명은 꼭 필요하고 중요한 일이라 기대를 하게 됩니다.
다자녀 혜택 때문에 그런거 아니고? 우리도 다자녀 농수산물 지원 5만원 사이소에서 사라길래 회원가입했는데 ...
8명이 시위 하는데 안전상의 문제라면 지나가는 개도 웃을판이네 아~ 찍새까지 9명인가?
요즘은 형곡동에서 사곡오거리로 아우토반 넘어가는 시작점부터 화물차들이 대놓고 주차해 놓던데 그 큰 도로에 화물차 주차가 말이 됩니까? 구미시는 왜 가만히 방치하는지 사고 나야 소잃고 외양간 고치려는지
특별히 개성 있는 것도 아니고 눈에 띄는 것도 아니고 희소성도 없고
그래서 가은중은 고려대 우리는 구미대? "
지자체나 출연기관, 보조금 단체 등이 주관하는 대부분 행사들이 취지나 명분만 포장하고 있고 내용의 진정성은 찾아보기 어렵다. 인사말과 자아자찬에 기념사진 남기기가 주요 사안인 것 같다. 다른 지역도 어느정도 닮은 꼴이겠지만 변화와 발전을 위한다면 좀 바뀌어야한다. 사진찍기에 동원되는 관계인들도 관계를 위한 자리가 아닌 목적과 가치를 짚어보는 자세로 이젠 바뀌어야 하지 않을까... 구미의 미래를 위한다는 명분이라면...
뭣이 중헌디?
오피니언
《천자문》 주석에 “운운(云云)과 정정(亭亭).. 
깨어 있는 한 자녀, 가족을 구하다-유은실의 .. 
세 곳째 병원을 다니고 있다. 병원이든 의원이.. 
《천자문》 주석에 “오악(五嶽)은 항산(恒山).. 
여론의 광장
구미도서관, MZ세대 사서들의 ‘1인 1독서 1프로젝트 개발’..  
구미시노인장기요양기관연합회, 산불 피해 돕기 성금 1,250만 원 기탁..  
경북도, ‘딸기가 3배나 열려요’..  
sns 뉴스
제호 : 경북문화신문 / 주소: 경북 구미시 지산1길 54(지산동 594-2) 2층 / 대표전화 : 054-456-0018 / 팩스 : 054-456-9550
등록번호 : 경북,다01325 / 등록일 : 2006년 6월 30일 / 발행·편집인 : 안정분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정분 / mail : gminews@daum.net
경북문화신문 모든 콘텐츠(기사, 사진, 영상)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경북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