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북문화신문 |
|
구미상공회의소 경북FTA통상진흥센터가 2025년 1분기 구미지역 수출 실적을 분석한 결과, 총수출액은 46억 193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0.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월별 추이를 살펴보면 1월 수출은 전년 17억 3,374만 달러 대비 14억 6,263만 달러로 15.6% 감소했다. 이는 공휴일 증가로 인한 조업일수 감소가 주요 원인으로 분석됐다. 반면 2월과 3월은 각각 15.3%, 2.9%의 수출 증가율을 기록하며 회복세를 보였다.
품목별 수출 실적에서는 무선통신기기 부품이 15억 9,131만 달러로 전체 수출의 34.6%를 차지해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그 뒤를 무선전화기, 평판디스플레이, 실리콘웨이퍼, 인쇄회로 등이 이었다. 주요 수출 품목 대부분이 반도체 및 전자부품에 집중돼 있어 구미의 산업 구조를 반영하고 있다.
국가별로는 중국이 23억 5,954만 달러로 전년 대비 11.0% 증가하며 최대 수출국 자리를 지켰다. 미국은 6억 4,216만 달러로 소폭 감소했고, 베트남은 3억 7,545만 달러로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반면 캐나다는 44.9% 감소해 가장 큰 하락폭을 기록했다.
국가별 주요 수출 품목으로 중국은 무선통신기기 부품(15억 3,031만 달러)이 압도적 비중을 차지했으며, 평판디스플레이(1억 7,169만 달러), 실리콘웨이퍼, 집적회로반도체가 뒤를 이었다. 미국은 무선전화기(2억 15만 달러), 기타정밀화학원료, 실리콘웨이퍼가 중심이었고, 베트남은 평판디스플레이(2억 6,690만 달러)와 집적회로반도체가 주력 품목으로 확인됐다. 일본은 축전지와 필름류, 캐나다는 무선전화기(1억 1,503만 달러)와 운반하역기계가 주요 수출 품목으로 집계됐다.
특히, 구미지역 무선통신기기 부품 수출의 96.2%가 중국으로 향하는 등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했다. 무선전화기 수출은 북미(미국·캐나다)에 집중됐고, 평판디스플레이는 베트남과 중국이 주된 시장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북 전체의 2025년 1분기 수출은 90억 3,235만 달러로 2.9% 감소했으며, 이 중 구미는 50.9%를 차지하며 수출 1위 지역의 위상을 유지했다. 뒤를 이어 포항(21억 844만 달러), 영주(5억 5,477만 달러)가 뒤를 이었다.
간접수출 실적도 주목된다. 경북 전체 간접수출은 13조 5,918억 원으로 전년 대비 73% 급증했으며, 포항이 72.4%의 비중으로 선두를 달렸다. 구미는 7,714억 원으로 3위를 기록했다.
윤재호 경북상공회의소 회장은 “대외 불확실성 속에서도 구미가 경북 수출을 견인하고 있는 것은 고무적”이라면서도 “트럼프 전 대통령의 통상정책 변화 가능성 등으로 하반기 수출 여건은 녹록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수출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정부 및 유관기관의 정책적 지원과 환경 개선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