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북문화신문 |
|
백중절,중원절,백종일,망혼일이라 부르기도 한다
백중(百中)이란 음력 7월 15일이 24절기의 중심이라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백중(白衆)이란 스님들이 한 곳에 모여 공부하는 하안거(夏安居)의 결제(結制) 기간이 끝나는 해제(解制)의 자자(自恣)일에 서로의 잘잘못을 이야기하고 반성한다는 뜻에서 백중(白衆)이라고 쓴 것이다.
백종(百種)이란 이 무렵이 과일과 채소가 많이 나오는 때이므로 백 가지(많다는 뜻) 씨앗을 마련한다는 의미이기도 하며, 백 가지 햇곡식으로 조상의 사당에 올리는 날이라는 의미, 고려시대에는 불가에서는 우란분회(盂蘭盆會)를 행할 때 수많은 곡식과 과일을 공양 올린다는 의미에서 이런 이름이 생겼다고 한다.
이날 행하는 우란법회는 지옥의 문이 열리는 날이라 하여 돌아가신 망자의 극락왕생과 천도를 발원하는 날로서 수행자 스님들께 공양을 올리는 공승제 같은 아름다운 전통과 풍습이 오늘날까지 전해오고 있다.
천도되지 않은 원혼이나 조상을 왕생극낙, 천도 시키는 법회는 목련존자가 지옥의 부모를 구했다는 우란경(목련경)에서 기인된 것으로 이날 절에서 부처님께 공양하면 조상의 영혼을 천도시킬 수 있다고 한다.
또 이날 우란분회를 열어 여러 가지 음식을 장만하여 부처님께 공양하고, 조상의 영전에 바쳤다고 한다. 조선 후기에 간행 된 '동국세시기'에 스님들이 재를 올리고 불공을 드리는 큰 명절로 여겼다는 기록이 있다.
우란분절의 유래를 살펴보면, <우란분경>에 부모와 조상의 은혜에 보답할 것을 설한다.
우란분은 거꾸로 매달림이라는 의미이다. 먼저 돌아가신 조상들이 거꾸로 매달린 듯한 고통에 처해 있는 상황을 표현한 것이다. 부처님이 사위국의 기수급고독원에 있을 때였다.
목건련이 비로소 6신통을 얻어서, 자신을 길러 준 어머니에게 은혜를 갚고자 하였다.
그러나 죽은 어머니가 아귀의 세상에서 굶주리는 고통을 당하고 있는 것을, 천안통(天眼通)으로 본 목건련은 자신의 능력으로 어머니의 고통을 덜어 줄 수 없음을 알고, 슬프게 울며 부처님을 찾아가 도움을 청한다. 부처님은 목건련에게 7월 15일에 밥과 100가지의 맛과 다섯 가지의 과일 등으로 시방(十方)의 스님들에게 공양하면, 그 스님들의 위신력을 얻어 현재의 부모와 7대의 조상과 6종의 친족이 3도(途)의 고통에서 벗어나 해탈할 수 있음을 설한다.
그리고 부처님은 불자가 항상 효순한 마음으로 부모와 조상의 은혜에 보답하게 하기 위하여 우란분을 만들었다고 설한다. 매년 7월 15일을 우란분절로 정한 것은 이 불전에 연유한다.
우란분절에 지장기도를 통해서 무시이래로 우리가 지어왔던 콜타르 같이 끈적거리며 시커멓게 엉켜붙어있는 우리의 업장과 그 무게에 눌려 신음하고 있는 중생의 이 집착과 고통…
그리고 함께 인연한 모든 이들 부모, 남편, 자식, 이웃들의 아픔과 괴로움으로부터 건져 주고자 하는 불보살님의 대원력을 우리 각자의 진여자성의 성품속에서 찾아서 열고자 하는 열쇠가 바로 지장기도인 것입니다. 그리고 이 지장기도와 천도제를 통해서 숙세에 함께한 인연들을 위로하고 더불어 나의 어리석음의 무명을 밝히는 것이 바로 업장소멸이다.
도가 역시 중원절(中元節)이라 하여 인간의 죄를 사하는 지관대제(地官大帝)가 강림하여 뭇 중생들의 죄를 씻어준다 한다. 백중날(7월 15일) 밤에 도사들이 경문을 읽어주면 아귀나 지옥에 갇힌 조상들이 천도된다고 한다.
도불의 영향을 받은 민간에서도 이날을 망혼일이라 하여 조상을 위한 제사를 지냈다. 삼나물, 삼실과, 술,밥을 올렸다. 무속에서도 이날 조상을 해원, 천도하기 위한 등을 달고 재를 지내는데 주로 아미타불이나 지장보살을 찾는다. 이것은 상례적인 행사이고, 보통 사람들은 백중날을 명절로 생각해서 남녀가 모여 음식을 장만해서 춤추고 노래하고 함께 즐겼다
백종(百種)은 이 무렵에 여러 가지 과실과 채소가 많이 나와 '백가지 곡식의 씨앗'을 갖추어 놓았다는 뜻이며, 중원(中元)은 도가에서 말하는 삼원의 하나로 이 날에 하늘의 관리가 인간의 선악을 살핀다고 하는 데서 연유했다.
또한 망혼일(亡魂日)이라 한 까닭은 돌아가신 부모의 영혼을 위로하기 위해서 술·음식·과일을 차려 놓고 제사를 드린 데서 비롯되었다.이 시기에 '백중'이라는 속절을 두어 농사일을 멈추고, 그해에 새로 난 과일이나 농산물을 먼저 돌아가신 조상의 신위(神位)에 올리는 천신의례 및 잔치를 벌여 일의 지루함을 달래고, 더위로 인해 쇠약해지는 건강을 회복하고자 했다. 백중의 세시풍속
입하로부터 시작되는 초여름은 '농사짓다'라는 뜻의 '녀름짓다'라는 옛말처럼 밭매기와 논매기 등 농사일이 한창인 계절이다. 그러나 '어정 7월, 건들 8월'이라는 옛말처럼 농촌의 7월은 바쁜 농번기를 보낸 뒤이면서, 한편으로는 가을 추수를 앞둔 때로 잠시 허리를 펼 수 있는 시절이다. 백중날 각 가정에서는 익은 과일을 따서 사당에 제사를 올렸으며, 궁중에서는 종묘에 이른 벼를 베어 제사를 올리기도 하였다.
백중날을 전후하여 여러 가지 놀이와 흥행이 벌어지는 큰 시장이 서는데 이를 백중장(百中場)이라 한다. 이 장이 서면 주인은 머슴들에게 새 옷 한 벌과 장에 나가 먹고 즐길 돈을 주는데 이를 '백중돈 탄다'고 했다. 그래서 이 날을 '머슴날'(요즈음의 근로자의 날이다) 이라고도 하며, 마을에서는 일정한 날을 정하여 머슴과 일꾼들은 지주들이 마련해준 술과 음식을 갖고 산이나 계곡을 찾아가 먹고 마시며 하루를 흥겹게 즐긴다.
이날 풍물놀이와 더불어 대동놀이가 벌어지는데 이를 '백중놀이'라고 한다. 이 놀이는 농촌에서 힘겨운 세벌논매기를 끝내고 여흥으로 여러 가지 놀이판을 벌여온 데서 비롯된 마을 잔치이다.
특히 이날 즐기는 풍속으로 '호미씻이'가 있는데 그 해에 농사가 가장 잘 된 집의 머슴을 뽑아 얼굴에 검정 칠을 하고 도롱이를 입히며, 머리에 삿갓을 씌워 우습게 꾸민 다음 지게 또는 사다리에 태우거나 황소 등에 태워 집집마다 돌아다니는 놀이다. 그 때 집주인들은 이들에게 술과 안주를 대접한다. 호미씻이는 지방에 따라서 초연(草宴), 풋굿, 머슴날, 장원례(壯元禮)로도 불린다.
또 마을 어른들은 머슴이 노총각이나 홀아비면 마땅한 처녀나 과부를 골라 장가를 들여 주고 살림도 장만 해 주는데, 옛말에 '백중날 머슴 장가 간다'라는 말이 여기서 생겼다.이 날은 산신(山神)들이 곡식을 추수하는 날이라 들에 나가 일을 하면 방해가 된다고 해서 남자들은 들에 나가지 않고, 여자들은 집안에서도 아무 일도 하지 않는다.
하지만, 제주도에서는 바닷일을 더 많이 한다. 백중날에 살찐 해물이 더 많이 잡힌다고 믿기 때문이다. 또 한라산에 '백중와살'이라는 산신이 있는데 백중 때 잘 익은 오곡과 과일을 사람들이 따 가면 샘을 낸다고 하여 산신제를 지낸다.
오랫동안 우리 겨레가 속절로 지내온 백중날은 이제 우리 곁에서 점점 사라져가고 있다. 그것은 농촌에서 대동놀이를 할 사람이 줄어들은 탓과 머슴이 없어진 탓이기도 하지만, 어쩌면 우리의 전통이 사라지는 일이기도 하다.
우리 구미시에서 백중날을 축제 형식으로 아니 신라불교 발생지 답게 음력7월15일 백중날을 측제 형식으로 한번 다듬어 보았으면 하지만 사라져 가는 백중날을 되돌릴 수야 없지만 최소한 백중날의 유래와 세시풍속, 그리고 더불어 살기 위한 백중놀이의 의미를 살펴보면 어떨까 싶다.
궁금했는데 시원히 설명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복많이 받으시길 바랍니다 꾸벅
08/30 07:59 삭제
자세한 설명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복받으시길 바랍니다 꾸벅
08/23 00:09 삭제